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고민상담

회사 생활

붉은연어
붉은연어

20대30대 청년들의 기피직종 어떤것들이 있나요?(건설업 제외)

안녕하세요. 요즘 나라가 불경기가 취업문이 상당히 어려운것이 사실입니다. 20~30대 기준으로 해서 일반적으로 어떤 업종을 가장 기피하나요? 건설업은 제외 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사일러스
    사일러스

    우선 대졸 20대들은 대학졸업하면, 사무실에서 펜을 굴리며 컴퓨터나 두들기는 사무직을 꿈꿉니다.

    그러나 특히 이공계인 경우, 현장에서도 일해야 하고, 여러가지 연구분야에 투입되기 때문에 적응못해서 회의감을 느끼게 됩니다.

    그래서 어설프게 적응한 20~30대들은 이공계를 기피하게 되는 것입니다.

  • 대체로 몸을 움직여서 하는 기술직들을 기피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여름엔 덥고 겨울엔 추운 곳에서 일하는 직종들을 기피 하는것이죠.

  • 과거 3D 직종은 지금도 여전히 기피합니다. 즉 더럽고(Dirty), 어렵고(Difficult), 위험한(Dangerous) 3D 직종은 대부분 20~30대 청년들에게는 기피 직종들 입니다. 이러한 3D 직종은 주로 중소기업 생산직이나 중견기업 또는 대기업 아웃소싱으로 내국인 기피 대상이 되어 주로 외국인이 많이 하고 있습니다. 그 외에 임금이 적은 직종 최소임금을 주는 직종도 대부분 기피 하는데 차라리 카페 아르바이트가 낫다는 인식들이 강합니다.

  • 안녕하세요.

    기피하는 업종에 대표적인 것이 열악한 환경의 제조공장 현장직이라 할 수 있는데요. 그 중에서도 가루가 날리는 현장의 경우에는 더욱 기피하는 경향이 있더라구요. 플라스틱을 만들 때 수지(레진)가 들어가는 것 외에도 안료라는 색을 내는 가루, 충진제(필러)라는 탄산칼슘 가루 뿐만 아니라 산화방지제, 난연제 등 수많은 가루들을 사용하기 때문에 손과 옷에 묻는 것 외에도 호흡기로 들어오는 것 까지 상당히 열악한 환경일 경우 외국인 노동자 외에는 근무를 거의 하지 않더라구요.

  • 안녕하세요

    저는 상냥한당나귀216입니다

    20대와 30대의 청년들의 기피직종이 어떤것들이 있는지 궁금하시군요

    보통 힘든것을 기피하는게 대표적이구 중소기업을 기피합니다 그리고 돈을 많이줘도 워라벨을 생각을 많이 하기때문에 그 워라벨기준으로 부합되지 않는 직종을

    다 기피하고 있어요

  • 안녕하세요 검소한늑대입니다.

    요즘 2030들은 대체로 편한일을 하고 싶어합니다.

    그래서 영업 및 판매직, 농업을 기피하는 현상을 보이지요.

    어쩔 수 없이 위 업종에서 종사하고 좋아하시는 분들도 있지만 대체적으로 위 업종은 현 대한민국의 2030이 기피하는 업종이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