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토목공학

홀쭉한가재292
홀쭉한가재292

한 사람이 하품을 하면 근처에서도 거의 다같이 하품을 합니다. 하품도 전염되나요?

하품을 하게 되는 원인은 무엇인가요? 그리고 한 사람이 하품을 하면 근처 사람들도 대부분 하품을 합니다. 그렇다면 하품도 전염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사람들이 하품을 보고 하품을 따라하는 현상은 "전염적 하품" 혹은 "사회적 하품"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하품은 호흡기로부터 발생하는 행동이며, 하품 중에는 공기와 함께 작은 입자가 방출될 수 있습니다.

    전염적 하품은 사람들 사이에서 하품이 전파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 병원체의 전파 경로로 간주되지는 않습니다. 하품을 통해 질병이 전파되는 확률은 호흡기 비말이나 직접적인 접촉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전염적 하품의 원인은 여러 가지 요소에 의해 설명될 수 있습니다. 사회적인 요인 중 하나는 우리가 다른 사람들의 행동을 모방하는 경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하품은 뇌의 특정 영역을 자극하여 반사적인 행동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본능적으로 하품을 따라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반응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실제로 하품이 전염성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하품을 하는 타인의 모습을 보고 따라하게 되는 일종의 사회적 전염의 일종으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호현 과학전문가입니다.

    하품이 전염이라기보다는

    하품을 한다는 것 자체가 주변에 신선한 공기가 많이 없다는 뜻이죠.

    주변에 신선한 공기가 없으면 산소의 필요성을 느끼고 하품을 하게 되는겁니다.

    인체 반응은 대부분 비슷하니 하품이 전염된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가까이 있는 사람이 하품을 하게 되면 어느 새 자신

    도 모르게 하품을 따라하는 경우가 있어요.

    그래서 하품전염이라는 말이 생기기도 했답니다.

    하품전염은 실제로 친밀감이나 호감도에 따라 달

    라진다고 하는데요.

    깊은 유대관계를 지니고 있을수록 전염성이 비례

    해 높아지는 모습을 보여요.

    그리고 낯선 이가 하품할 때는 전염성이 현저히 낮

    아진다는 이야기가 있답니다.

    이것은 과학적인 근거라기 보다는 공감대가 높은

    상대일수록 거울신경세포라고 하는 것이 활발해지

    기 때문에 하품행위의 모방으로 이어진다고 보고

    있어요.

    참고로 이러한 이야기는 과학학술지인 피어 제이

    에서 밝혀진 이론이에요.

  • 안녕하세요. 이성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하품은 전염이 됩니다!


    하품의 전염은 서로간의 친밀감 및 유대감 등의 관계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하픔은 뇌에 산소가 부족할 경우에 많이 합니다 뇌는 신체에서 가장 많은 산소를 필요로 하는 기관으로 하품을 하면 폐에 있는 공기가 뇌로 전달되어 뇌의 산소 부족을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다른 사람의 하품을 보면, 공감의 감정이 생겨서 하품을 하게 된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