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뽀로로
뽀로로23.10.26

정전기로 인해 불이 날 수도 있을까요?

정전기로 인한 스파크로 인해 불씨가 생겨 불이 날 수도 있는지 궁금합니다.

또한 정전기가 생기는 원리는 어떻게 되는지도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정전기는 물체 위에 정지하고 있는 전기를 말한다. 물체끼리의 마찰에 의하여 생긴 마찰 전기도 여기에 속합니다. 무언가를 마찰시킬 경우 자연적으로 발생하고, 가장 쉽게 만드는 방법은 거울 앞에 가서 불을 끄고 자신의 머리를 빗으로 빗어 보는 것입니다. 머리카락이 적절하게 건조할 경우 따닥따닥하며 머리에서 불꽃이 튀기는 걸 볼 수 있습니다.
    이때 발생하는 전압은 1만 볼트를 넘고, 순간 전류는 수 A(암페어)에 달하지만, 실제로 전기가 흐르는 건 매우 짧은 시간(약 0.000002 초)이므로 인체에 흐르는 전류에 대한 반응으로 1mA 이하 정도로 약하게 느껴져 정전기로 부상을 입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하지만 어쨌든 순간적인 점화 효과가 있어 위험한 유류나 인화성 물질에 정전기가 발생할 경우 정전기는 금방 사라지더라도 붙은 불은 계속해서 남기 때문에 정전기로 인한 유류, 가스 폭발/화재 사고 사례는 매우 많고, 굉장히 위험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스파크가 가스 누출 또는 인화성 물질 근처에서 발생한다면 스파크가 불을 일으킬 수 있는 환경이 될 수 있습니다. 가스 누출에 대한 안전 조치나 화학 물질 주변에서 스파크가 발생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호 과학전문가입니다.

    맞습니다. 정전기로 인해 스파크가 발생하면 불이 날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정전기는 물체 간에 전하가 이동하는 현상으로, 정전기의 두 가지 형태인 양전자(양의 전하)와 음전자(음의 전하)가 서로 상충하거나 물체와 물체 사이에서 충돌하는 과정에서 발생합니다. 양전자와 음전자 간의 전하가 충돌하면 스파크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 스파크는 높은 온도와 에너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스파크가 불씨를 일으키고 불을 일으킬 수 있는 상황에는 다음과 같은 경우가 있습니다:

    1. 가연성 물질: 스파크가 가연성 물질에 닿을 경우, 그 가연성 물질에 불이 붙을 수 있습니다. 가령, 연료, 가스, 알코올 등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2. 물기: 스파크가 습기가 많은 환경에서 발생하면, 스파크가 습기를 증발시키고 공기 중에 가해진 수증기를 냉각하여 불씨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3. 환경 조건: 스파크는 주변 환경 조건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공기 중의 산소 농도, 온도, 압력 등이 불씨를 발생시키거나 불을 일으킬 수 있는지 결정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정전기로 인한 스파크로 인해 불씨가 생겨 불이 날 수 있습니다. 정전기는 두 물체가 마찰을 통해 서로 다른 전하를 띠게 되는 현상입니다. 두 물체의 전하가 서로 다르면, 서로를 끌어당기거나 밀어내는 힘이 작용합니다. 이 힘이 너무 강해지면, 두 물체 사이에 전기 방전이 발생하여 스파크가 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정전기로 인해 불이 날 수 있습니다. 정전기란 물체 간에 전하가 불균형하게 분포되어 발생하는 전기적인 현상을 말합니다. 물체가 마찰 등의 작용으로 전하를 획득하면, 그 전하는 물체에 머물러 있게 되고, 이 때 물체가 다른 물체에 닿으면 전하가 이동하면서 정전기가 발생합니다.

    정전기가 발생하면 높은 전압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전기 화재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스파크가 발생하여 가연성 물질인 기름, 가스, 분말 등에 접촉하면 화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정전기로 인해 전자기장이 형성되어 전기적으로 중성인 물체가 자석과 같은 역할을 하여 금속 물체를 끌어당기면서 화재를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