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귀한꽃게64
귀한꽃게64

주식이 거래되는 원리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주식이 그 기업의 미래 가치를 구매하는거라 들었는데요.

배당주는 배당을 주니까 그런가 보다 하겠는데 무배당주는 주식이 있어도 아무런 이득이 없을거 같은데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주식이 거래되는 원리는 기본적으로는 회사가 수익이 나고 향후에 '배당'을 기대하기 때문에 해당 주식을 매수하는 것이지만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기업들이 기본적인 '배당'에 대한 논리를 정립하지 않고 잘못된 운영을 하고 있어서 단순한 '주가 차액'이라는 점에 대해서만 '투기'를 하고 있는 것이라고 볼 수 있어요. 그래서 국장은 하지 말라는 말이 경영주들의 잘못된 경영방식 때문에 나온것이라고 보시면 되세요

  • 주식시장에서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됩니다. 주식은 기업의 소유권을 나타내는 증권으로, 기업의 미래 성장가능성과 수익을 반영합니다.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것은 해당 기업에 대한 소유권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주식의 시장가격은 시장 참여자들의 기대와 판단에 따라 변동됩니다.

  • 주식을 가지고 있으면 미래에 기업가치가 올라갈 때 해당 주식의 가치도 올라가게 됩니다. 그 때 매도하여 차익을 얻으려는 이유도 있고, 일부는 주식을 가짐으로써 의결권을 행사하기 위한 목적도 있습니다.

  • 배당을 주지 않는 기업을 살펴보면 신규 투자 등에 많은 비용을 지출하는 사업을 하는 기업이 많습니나.

    2차 전지, 빅테크 기업 등이 이에 해당하는데, 배당금을 투자자에게 지급하지 않고 해당 비용을 연구 및 개발 비용 등에 다시 추가하여 더 높은 매출 성장세를 기록하여 주가를 부양시킵니다.

  • 무배당주와 같은 경우에는 배당을 주지 않더라도 향후 시세차익 등을 목적으로 투자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배당을 주지 않아도 자사주 소각 등을 할 수도 있고 기업이 더 성장한다면 오히려 시세차익 등에

    더 유리할 여지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 배당이 현재는 없지만 성숙한 산업이 되어 안정적으로 매출을 유지하게 되면 사내 유보금이 생기고

      이를 배당으로 지급하게 되어 있습니다.

    • 이것을 기대하여 투자하는 경우가 있고 고속성장으로 매출이 크게 오르면 기업을 인수하고 싶은

      세력들이 생기기 때문에 기업의 시가총액도 같이 성장하기에 여기서 시세차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 아닙니다. 배당을 하지 않아도 그 기업이 재투자 등을 통해 기업 가치를 높일 것으로 기대가 된다면 기꺼이 더 높은 가격에 사려는 사람이 있기 마련입니다. 구글, 버크셔 해셔웨이 등이 대표적으로 이런 기업들에 속한다 할 수 있습니다.

  • 질문하신 주식이 거래되는 원리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식이 거래되는 원리는 다름이 아닌

    수요와 공급에 의해서입니다.

    누군가는 보유 중인 주식을 팔고자 하고

    누군가는 보유 중인 주식을 사고자 하는데

    이 둘의 마음이 한 가격점에서 맞게 되면 거래가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