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생활

생활꿀팁

맥화이트골드심
맥화이트골드심

주민등록번호 뒷자리에 3이나 4가 사용된것은 언제부터 인가요?

오늘 우연히 주민등록번호 뒷자리가 4인 경우가 있다는 것을 처음 알았습니다.

예전에는 남자는 1, 여자는 2였는데 말이죠.

3은 남자, 4는 여자겠죠?

언제부터 3과 4를 적용한 것인가요?

현재도 5 이상은 사용하지 않는거죠?

답변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밤잠많은모기2
    밤잠많은모기2

    2000년대 이후 출생자들은 뒷자리 3,4로 시작합니다. 1900년대생과 2000년대생 구분을 하기 위해서 뒷자리를 2000년대생부터 3,4를 사용하기 시작했다고 보시면 됩니다. 

  • 주민번호 뒷자리에 3이나 4가 사용된거는

    2000년생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였습니다.

    아마 세기를 구별하기 위해서나

    중복되는 사례를 막기 위해서인 듯 합니다.

  • 주민등록번호의 시작이 생년 끝 2자리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2000년데 이후 출생자를 동일하게 1,2로 하게 되면 혼란이 오겠죠.

    그래서 2000년대 출생자부터는 3과 4를 사용합니다.

    5부터 8은 등록외국인, 국내거소재외국인, 국내거주외국국적동포들의 식별번호로 사용중입니다.

    5,6은 1900-1999년 출생, 7,8은 2000년 이후 출생 외국인에게 부여됩니다.

  • 질문의 답변을 드리자면 2000년생 부터 주민등록번호 뒷자리가 3이나4를 적용했습니다 그이유는 앞에 태어나시 1900백년대 분들과 주민등록이 겹치지지 않기 위함이라고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