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 GM ⠀
⠀ GM ⠀23.05.12

부채도 자산에 포함이되는 이유가 뭔가요?

사회초년생으로서 경제용어들을 배우고 있어요. 그런데 자산이라는 용어에 대해 공부하던 도중 부채도 자산에 포함을 시키더라고요. 부채가 자산이라..? 부채가 자산으로 인정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그 이유는 부채 역시 이 부채를 내가 활용해서 뭔가 수익을 거둘 수 있기 때문이며, 대표적인 예까 부동산인데, 내 돈 2억 + 대출(부채) 2억 = 4억 원짜리 아파트를 내가 산다면 이 아파트의 효용을 내가 누릴 수 있기 때문에 포함시키는 것이라 보시면 어렵지 않습니다.

    - - -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점은 의견으로 남겨주시면 제가 아는 범위 내에서 성의껏 답변을 드려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 -


  • 안녕하세요. 김철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자산은 자본과 부채의 합을 말합니다. 부채를 무조건 자산이라고 하지는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기업들은 부채를 생산활동에 사용을 하기 떄문에 자산으로 보게되는겁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자산이라는 개념은 '자본+부채'라는 개념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제일 많이 헷갈리는 것이 '자본'이라는 개념과 '자산'이라는 개념인데, 자산이라는 개념은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무형이나 유형의 가치물을 이야기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서 10억원의 아파트를 내 명의로 소유하고 있는데 이 아파트에 투입된 자기자본은 4억원이고 대출은 6억원이라면 10억원의 아파트 가치는 자산에 해당하는 것이고, 4억원은 나의 자본, 그리고 6억원은 부채에 해당하게 되는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부채가 생산활동에 쓰이기 때문입니다. 그 생산활동을 통해 재화나 서비스가 만들어 지므로 자산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