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바다는 왜 짜고 파란색을 띠나요?

안녕하세요. 바다에는 어떤 비밀이 있길래 짜고 에메랄드 빛처럼 푸른색을 띄는 것일까요? 영하의 날씨인 겨울철에도 바닷물이 잘 얼지 않는데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굉장한호돌이84
      굉장한호돌이84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닷물이 짠 이유는 해저지하로부터 계속해서 암반염이 유입되기때문입니다.


      또한 푸른색을 띠는 이유는 바닷물속으로 들어간 태양빛이 산란되고, 푸른색빛만이 반사되어 우리눈에 들어오기때문입니다.


      또한, 잘 얼지않는 이유는, 물애녹아있는 다양한성분이 어는것을 방해하여 어는점을 낮추고,끊임없이 치는 파도에의해 부숴지기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다에는 다양한 무기물들이 녹아 있기 때문입니다. 주로 염화나트륨인데 지구가 생성된 이후 수많은 화산이 폭발하는 등 지각활동을 하면서 육지의 암석 표면을 빗물이 씻어내리고 냇물과 강물을 통해 바다로 흐르는 작업을 수억년간 반복하면서 바닷물에 무기물들이 많아져 짜게 됐습니다.

    • 바닷물이 짠 이유는 35억년 지각에 모인 해수가 증발과 응축을 반복하면서 생긴 현상입니다.

      지각을 형성하는 현무암의 나트륨과 칼륨이 녹아들게 되었고,

      화산 활동에 의해 염산가스 등이 바다에 대량으로 녹아들었기 때문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그리고 바다가 파란 이유는 파장 때문입니다.

      수심이 깊은 바다를 통과하는 빛은 파장이 긴 붉은색 계열이 안쪽으로 흡수되어

      파장이 짧은 파란색 계열만 표면으로 반사되어 우리 눈에 파랗게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닷물이 파란 이유는 파장이 긴 붉은색 계열의 빛은 투과가 잘되고, 파장이 짧은 파란색 계열의 빛이 산란이 잘되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산란은 물 분자와 빛과의 상호작용으로 빛의 경로가 뒤틀리는 현상입니다. 그래서 파란 빛이 물 분자에 산란되어 여기저기 튀다가 수면밖으로 나와 우리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바닷물이 파랗게 보이는 것이죠.

      또한, 바다의 깊이에 따라 푸른 색이 미묘하게 달라집니다. 바다의 깊이가 깊어질수록 짙은 파란색이 됩니다. 또한, 해수면에나 바다 속 생물의 영향도 받습니다. 해수에는 녹조류, 갈조류, 홍조류 등이 존재하는데, 수심이 얕은 곳에서부터 깊은 곳까지 녹조류, 갈조류, 홍조류 순으로 존재합니다. 이러한 요인에 의해 바다의 색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