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빼어난양241
빼어난양241

일벌이나 일개미는 왜 암컷으로만 구성되어있나요

일벌이나 일개미는 암컷으로만 구성되어있다고 하는데요 그렇다면 왜 이들은 암컷으로만 구성되어있는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일벌과 일개미가 주로 암컷으로 구성되어 있는 이유는 그들의 특별한 생식 전략과 사회적 구조 때문입니다. 이들은 양성발생(haplodiploidy)이라는 독특한 유전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개미나 벌과 같은 토벌(Hymenoptera) 목의 많은 종에게서 발견됩니다.
    양성 발생은 암컷이 배우자의 유전자를 받아 수정된 알을 낳고, 수정되지 않은 알에서는 수컷이 태어나는 유전적 메커니즘입니다. 즉, 암컷(일벌, 일개미 포함)은 이중 염색체(diploid)를 가지며, 수컷은 단일 염색체(haploid)를 가집니다.
    암컷은 부모로부터 받은 두 세트의 염색체(하나는 어머니, 다른 하나는 아버지)를 가지고, 수컷은 어머니로부터 받은 하나의 염색체 세트만을 가집니다. 수컷은 수정되지 않은 알에서 발생하므로, 그의 유전적 정보는 어머니로부터만 옵니다.
    벌과 개미 사회에서, 암컷(특히 일개미나 일벌)은 집단의 생산적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들은 먹이를 구하거나, 집을 건설하고, 후대를 돌보는 등의 중요한 일을 합니다. 이런 역할을 그들의 사회적 구조와 잘 어울리며, 집단의 생존과 번성에 필수적입니다.
    반면, 수컷은 주로 번식의 목적으로 존재합니다. 수컷은 짧은 기간 동안 살며, 교미 시즌에 여왕과 교미하는 역할을 수행한 후 대개 죽습니다.

  • 일벌이나 일개미가 암컷으로만 구성된 이유는 효율적인 사회 구조 때문입니다. 이들 곤충 사회에서 번식은 여왕의 역할이고, 일꾼들은 주로 먹이를 모으고 집을 관리하는 일을 맡습니다. 암컷은 생물학적으로 이러한 역할에 더 적합하며, 수컷은 번식기 동안 여왕과 교미하기 위해서만 존재하므로 일꾼 역할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이렇게 역할이 분담되어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일벌과 일개미는 암컷으로만 구성되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일개미가 암컷으로만 구성되면, 유전적으로 더 많은 자손을 생산할 수 있는 여왕과의 협력이 가능해집니다. 이는 집단의 생존과 번식 성공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온 전문가입니다.

    일벌이나 일개미는 주로 암컷으로만 구성된 이유는, 암컷이 생리적으로 더 다양한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암컷은 둥지를 관리하고, 먹이를 모으며, 새끼를 돌보는 등 복잡한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는 데 적합합니다. 반면, 수컷은 주로 번식에만 역할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일벌이나 일개미 역할을 맡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몇 마리 안 되는 수컷은 오로지 여왕과 교미를 위해 존재하기 때문에 일꾼은 전부 암컷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