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은 광합성을 어떻게 하나요(자세히)
요즘 갑자기 과학에 빠져서 과학에 대한 원리같은 것들이 굉장히 재밌고 신기하게 느껴지는데 그래서 식물이 광합성을 어떤 과정을 거쳐서 그 결과로 광합성을 한 식물이 어떤 효과를 얻는지 자세히 알려주세요
요즘 갑자기 과학에 빠져서 과학에 대한 원리같은 것들이 굉장히 재밌고 신기하게 느껴지는데 그래서 식물이 광합성을 어떤 과정을 거쳐서 그 결과로 광합성을 한 식물이 어떤 효과를 얻는지 자세히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용란 과학전문가입니다.
식물의 광합성이란 기본적으로 식물이 공기 중에 있는 이산화탄소와 물 분자를 기질로 이용해 태양에너지(빛 에너지)를 식물의 체내에 저장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하면 식물이 성장 및 유지하며, 씨앗을 만들고 자손을 퍼뜨리는 일에 필요한 에너지를 근본적으로 태양에너지로 가져오기 때문에 광합성이라고 합니다.
식물의 광합성을 통해 만들어지는 것이 바로 위 그림에 있는 탄수화물입니다.
탄수화물을 영어로 하면 carbohydrate 인데 탄수화물이라는 말은 '탄소+수화물'이라는 뜻이죠.. 탄수화물을 쉽게 말하면 탄소원자에 물 분자의 H+ 이온과 OH-이온이 결합되어 있는 구조입니다...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식물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영양분을 얻기 위해서는 이산화탄소와 물, 빛 에너지가 필요해요.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와 물로 포도당을 합성하는 과정을 ‘광합성’이라고 하는데, 광합성은 빛에너지를 화학 에너지로 바꾸는 역할을 해요. 광합성은 잎을 구성하는 세포에 많이 들어 있는 엽록체의 엽록소에서 일어나서 엽록소가 없는 곳에서는 광합성이 일어나지 않아요. 따라서 잎이 누렇게 되거나 검게 변한 곳에서는 광합성이 일어나지 않는답니다.
광합성에 필요한 물질인 이산화탄소는 잎의 뒷면에 있는 기공을 통해 잎으로 들어오고, 물은 뿌리에서 흡수된 후 줄기를 따라 올라오게 돼요. 이산화탄소와 물을 이용하여 포도당이 합성될 때 그 과정에서 산소와 물이 만들어지게 되는데, 광합성 반응 전에 물의 양은 광합성 후에 만들어지는 물의 양보다 많아요. 그래서 광합성을 반응식으로 나타낼 때는 반응에 필요한 물질을 적는 쪽에만 물을 쓰기도 합니다.
광합성을 통해 만들어진 포도당은 더 큰 분자인 녹말이나 설탕으로 만들어져서 줄기에 있는 체관을 통해 식물 전체로 이동돼요. 광합성 결과로 만들어진 산소는 기공을 통해 식물의 몸 밖으로 나가거나 식물 자신이 호흡하는 데 사용됩니다. 물은 다시 광합성에 사용되거나 수증기의 형태로 기공을 통해 식물 몸 밖으로 나간답니다.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