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성실한따오기76
성실한따오기76

선구매하고나서 후결제 시스템이 많아졌던데 이게 합리적인 소비로 이어질까요?

요새 쇼핑몰에서부터 배달 등의 결제수단을 보면 사고 싶은 물건이나 음식을 사고 난 후에 나중에 할부로 결제하는 선구매 후결제 시스템이 많아졌더라고요. 이게 특히나 젊은 층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다던데요 편리하기는 하겠으나 신용 관리측면에서는 어떤 리스크가 숨어있을까요? 또 새로운 소비 트렌드로 자리잡을 수 있을지, 아니면 부작용이 더 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선 구매 후 결제 시스템이 널리 퍼지고 있으나

    이는 아무래도 향후 소비를 지나치게 늘리는 등

    부작용이 있을 수도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라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BNPL이라고 불리우는 제도인데 이는 유사 신용카드 제도로 소비를 활성화하고 그만큼 경제가

      뜨거워지는 것에 일조를 합니다

    • 이 부분이 미국에서는 소비자들의 모럴헤저드로 이어지기도 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완벽하게

      안착했다기 보다는 오히려 깡의 형태로 하여 현금을 땡기는 등의 부작용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실제 해당 시스템이 코로나 이후에 미국에서 성행을 했고 그러다보니 젊은 층의 소비고 크게늘고 할부소비가 늘면서 이로인한 젊은 층의 신용과 차입비율이 증가했습니다

    즉 한국도 자칫 해당과 같은 시스템이 일반화로 자리를 잡겠다면 할부형소비가 쉽게 되다보니 트렌드로 자리를 잡게되고 이를 위한 비싼 사치재이외에도 일반재화의 소비도 거리낌없이 하게되어 재무적건전성을 악화시키게되는 사회적 문제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고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선구매하고 후결제 하는 시스템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이렇게 되면 불필요한 물건도 먼저 들어가는 돈이 없기에

    추가로 구매해서 과소비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합리적인 소비와는 거리가 멀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신용카드가 선구매 후결제 시스템인데요. 할부 결제까지 온라인에서 자동 적용하고 있는데, 그렇게 되면 자신의 재정 관리가 어려워져서 추후 결제를 할때 할부금이 쌓여서 감당이 안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잘만 활용하면 합리적인 소비로 될 수 있지만, 대다수의 사람에게는 부작용으로 작용할 우려가 높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