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이로동
이로동23.11.04

인터넷은 어떻게 처음에 생겨나게 된건가요?

현재 우리가 흔하게 사용하는 인터넷은 어떤 원리와 방법으로 생겨나게 되었고 대중들이 사용하는 인터넷이 만들어지게 된 목적은 무엇이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인터넷의 처음 개념 도입은 국방부에서 사용되는 인트라넷 개념으로 사용되었습니다.

    그러다 1969년대 알파넷이라는 용어로 현재의 인터넷의 시초가 도입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인터넷은 1960~70년대 미국 국방부 내부에 사용되던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개발되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1990년도 즘 상용화 작업을 하여 현재와 같이 기술이 발전햇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컴퓨터간의 연결 통신입니다. 미국 국방부의 연구 프로젝트로 출발했고 이것이 민간으로 가면서 급속하게 발전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1970년대에 미국에서 개발되었고 인터넷 통신 규약이 만들어 졋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인터넷은 1960년대 미국 국방부 고등연구계획국(ARPA)에서 군사용 연구 목적으로 개발된 ARPANET이 시초입니다. ARPANET은 컴퓨터가 먼 거리에서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로, 패킷 교환이라는 기술을 사용했습니다. 패킷 교환은 데이터를 작은 단위로 나누어 전송하는 기술로, 데이터가 손실되거나 지연되더라도 원래의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습니다.

    ARPANET은 1969년 4월 29일 미국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와 스탠퍼드 연구소 사이에서 최초로 연결되었습니다. 이후 ARPANET은 점차 발전하여, 1970년대에는 전 세계의 대학과 연구기관으로 확산되었습니다.

    1982년 ARPANET은 TCP/IP라는 새로운 프로토콜로 전환되었습니다. TCP/IP는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표준 프로토콜로, 컴퓨터가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

    1990년 영국의 팀 버너스리에 의해 월드 와이드 웹(WWW)이 개발되면서, 인터넷은 대중에게 보급되기 시작했습니다. WWW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 다양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오늘날 인터넷은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가장 중요한 통신망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인터넷은 통신, 정보 공유, 쇼핑, 교육, 금융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인터넷은 이전에 미국에서 국방부에서 사용하던 네트워크 였습니다.

    그원리를 가지고 지금의 인터넷이 만들어 졌어요.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인터넷은 1969년 아르파넷(ARPANET)으로 출발한 이래 2012년 현재 40년이 넘는 역사를 갖고 있다. 그러나 통신망으로서 인터넷의 역사는 근대 통신의 혁명적 발전의 계기가 된 1836년의 전신 발명, 주요 통신망으로 기능하고 있는 1858년부터 1866년 사이의 대서양 횡단 케이블 구축, 그리고 현재도 주요 인터넷 통신망으로 이용되고 있는 1857년의 전화 발명까지 거슬러 올라가기도 한다(Internet Valley, 1998).


    그렇지만 현재와 같은 컴퓨터 통신 시스템으로 인터넷이 발전하게 된 것은 1960년대 이후다. 1969년 아르파넷이 구축되기 이전인 1960년대 초반부터 현재의 인터넷을 가능케 해 준 컴퓨터 상호 연결 개념과 관련 기술들이 개발되기 시작했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 것은 MIT 그룹이었다(Leiner et al., 1998). "인터넷의 아버지"라 불리는 존 리클라이더(John C. R. Licklider)는 MIT교수로 있던 1962년 "은하 네트워크(Galactic Network)"라는 개념을 제안했는데, 이는 전 세계적으로 컴퓨터를 상호 연결하고자 하는 구상으로 현재의 인터넷 개념과 매우 유사한 것이었다. 나아가1968년 로버트 테일러(Robert Taylor)와 함께 쓴 "커뮤니케이션 장치로서의 컴퓨터"라는 글은 이를 다시 확인하는 것이었다(Licklider & Taylor, 1990).


    1960년대 인터넷의 역사는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 네트워크의 구축으로부터 시작된다고 할 수 있는데(Hardy, 1993), 현재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 방식인 패킷 교환 이론에 관한 최초의 논문이 MIT의 레너드 클라인록(Leonard Kleinrock)에 의해 1961년 7월 발표되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1.04

    안녕하세요. 장대은 과학전문가입니다.


    인터넷의 유래는 1960~1970년대 미국 국방부 산하의 고등 연구국(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 ARPA)의 연구용 네트워크가 시초라고 합니다^^


    동서냉전이 한창이던 때 미국 국방부 고등계획국에서는 핵전쟁 등의 상황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는 네트워크를 연구하였습니다.

    연구결과 기존의 회선교환(circuit switching) 방식보다는 패킷교환(packet switching) 방식이 매우 견고하고 생존성이 높았습니다.

    최초의 2 노드 간의 상호 연결은 1969년 10월 29일 UCLA와 SRI 연구소 간에 연결되었습니다.

    이 통신망을 ARPANET이라고 하였으며 현재의 인터넷망의 시초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1960년대부터 1970년대 초반에 이르기까지, 미국의 정부기관들은 컴퓨터를 사용하여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을 연구해왔습니다. 그 결과로 ARPANET이라고 하는 프로젝트가 시작되었습니다. ARPANET은 미국 국방부의 고등연구계획국이 주도한 프로젝트로, 컴퓨터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연결하기 위한 실험적인 시스템이었습니다.

    ARPANET은 1969년에 처음으로 두 개의 대학과 연구소를 연결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후 다른 대학과 연구소들이 참여하면서 네트워크가 확장되었고, 이는 인터넷의 초기 형태로 볼 수 있습니다.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TCP/IP 프로토콜이 개발되어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표준화하고 확장성을 높였습니다. 이로써 다양한 컴퓨터 시스템과 네트워크가 상호 연결될 수 있게 되었습니다.

    1990년대에는 웹 브라우저의 등장과 함께 월드 와이드 웹WWW이 발전하면서 인터넷이 상용화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쉽고 편리하게 정보를 찾고 공유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