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론병에서 육아종이 어떻게 궤양으로 변하나요?
크론병을 공부중인 대학생 입니다 면역반응을통해 면역세포들이 뭉친 덩어리가 육아종이란걸 알앗고요 이것이 최종적으로 궤양 이된다는데 육아종이 어떻게 궤양으로 바뀌는건지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크론병은 만성 염증성 장 질환의 일종으로, 주로 소장과 대장을 포함한 소화관 어느 부분에서나 염증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다양한 병변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육아종 형성은 크론병의 특징적인 면역 반응 중 하나로, 면역계의 과잉 반응으로 인해 염증 세포들이 모여 덩어리를 형성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 육아종은 크론병에서 볼 수 있는 대표적인 조직학적 소견 중 하나입니다.
크론병의 염증 과정은 특정 면역 세포들(예: T세포, 대식세포)의 활성화와 이들이 분비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들의 증가로 특징 지어집니다. 이러한 면역 반응은 장 벽 내부의 조직 손상을 유발하며, 육아종이 형성된 지역에서도 지속적인 염증과 조직 손상이 일어납니다 육아종 내부의 염증이 지속됨에 따라, 주변 조직에 영양 공급이 저해되고, 조직이 파괴되어 점점 더 깊은 궤양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크론병에서 육아종은 만성 염증 반응의 결과로 형성됩니다. 이 염증 반응은 장벽의 손상을 유발하고, 장 점막의 재생을 방해합니다. 지속적인 염증과 조직 손상으로 인해 육아종 부위에 궤양이 발생하게 됩니다. 또한, 육아종 내부에는 염증 매개 물질과 효소들이 축적되어 있어서, 이것들이 주변 조직을 파괴하고 궤양 형성을 촉진시키기도 합니다. 결국 장벽의 완전성이 무너지면서 육아종이 궤양으로 진행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