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고요한딩고8
고요한딩고822.10.27

파킹통장시 은행에서 이득 보는건 뭘까요?

안녕하세요!

요즘 금리가 계속 높아지고 덩달아 파킹통장도 높아지는데요

예금같은경우는 묶어두지만 파킹통장은 언제든 뺄수 있는데 이득이 많을까요????? 문득 궁금해지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은행에 재직중으로 이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히 설명드리도록 할게요.

    파킹통장은 매일 이자를 산출하여 지급하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는 기존에 은행이 입출금통장(0.1% 이율적용)도 마찬가지로 이율을 주고 있었으나, 금리를 더 높게 준다는 차이를 가지고 있는데요. 이렇에 매일 돈을 넣고 빼게 되는 통장으로 은행은 어떻게 수익을 거두어서 이자를 주게 되는것일까 하는 의문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은행의 경우 자금을 예치하시게 되면 잔액평균(3개월, 6개월등)을 가지고 개개인당에 대한 수신잔고를 확인하고 운영합니다. 이러한 잔액은 입출금통장(은행내부에서는 핵심예금이라고 합니다)도 함께 산출하게 되며, 이 입출금통장 금액이 적어보이지만 은행 전체에 돈을 맡기시는 분들의 핵심예금 평잔은 은행 전체예금 금액의 15%정도를 차지하는 큰 금액입니다. 기존에 은행은 이 15%의 저리의 예금을 통해서 많은 이익을 거두고 있었던 것이죠. 그리고 개인 1명의 입출금통장의 잔액보단는 은행 거래를 하는 전체인원의 입출금통장 금액을 가중평균하게 되면 최소한 40%이상의 잔액이 유지가 되는데요. 예를 들면 파킹통장의 전체 잔액이 100억원이면 최소 40억원은 계속 들어오고 나가더라도 계속 유지가 되는 금액이 됩니다. 은행은 이 40억원으로 대출이나 다른 투자를 할 수 있게 되는것입니다.

    그동안 시중은행들은 이러한 핵심예금에 대해서 돈을 맡겨두시면 이자를 적게 줘도 되니 더 큰 수익을 얻을 수 있었지만 금리를 높게주는 파킹통장이 폭 넓게 사용되다보니 아무래도 이러한 핵심예금 운용을 통한 수익은 줄어들 수 밖에 없습니다.

    은행은 개개인들의 합산금액 + 평잔금액을 기준으로 운영하기 때문에 절대 손해날 일은 하지 않는다고 보시면 되세요. 하지만 2금융권의 경우는 조금위험한 접근일 수 있는데 최근 무리한 PF투자로 인해서 자금경색이 우려되는 상황이다보니 파킹통장의 금리를 3.5%대까지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2금융권의 파킹통장 잔액이 1금융권에 비해서 그렇게 높지 못할 것을 감안한다면 굉장히 무리한 운용방식으로 보이는 상황이라서 조심할 필요는 있습니다. 예금자보호가 된다고는 하나 실제로 나중에 돌려받기까지는 시간이 오래 걸려서 돈이 묶여 버리는 결과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 한번 부탁드릴게요! 좋은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파킹통장이 입출금 성격을 띠고 있어 언제든지 매일 입.출금이 가능하지만 고객마다 단기자금 예치를 해두는경우가 많으므로 금융업 입장에서는 단기운용자금에도 필요한것이죠 또한 파킹통장에 따른 홍보효과도 볼수 있구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0.27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파킹통장은 지정된 기간이 없습니다. 그래서 하루를 맡겨도 되고, 금리도 높습니다.

    파킹통장의 장점으로는 다음과 같은게 있습니다.

    2%의 높은 금리 적용

    짧은 기간도 이자발생

    자유로운 입출금

    중도해지시 불이익 없음

    저금리 시대에 안전한 투자처

    1인당 5천만원(원금+이자)까지 예금자보호법에 보장

    반면에 단점으로는 다음과 같은것이 있습니다.

    우대금리 미적용시 혜택 미미함

    은행에서 설정한 금액에 미도달시 혜택 없음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파킹통장과 같은 경우에는 가입자를 예치하는 등의 목적이 있습니다.

    파킹통장과 같은 경우에도 금융사와 거래한 rp 등에 투자함으로써

    이를 통하여 이자를 지급하고 가입자를 늘려 생태계를 확보하려는 목적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