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땅속의 말똥구리
땅속의 말똥구리22.10.07

달러의 강세가 계속되는데요. 환율이 이전수준으로 돌아오려면 어떤게 변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달러강세를 유심히 보고 경제상황도 잘보고 있습니다.

지금의 달러강세가 몇년간 이어질껀 아닐꺼라 보는데요. 달러가 다시 원상태로 되려면 세계 경제에 어떤변화가 있어서 발생할까요?

국내 금리의 인상만이 답일까요?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최근 미국의 금리인상과 양적긴축 정책들에 따라 달러강세장이 지속되고 있는데, 이는 비단 우리나라의 원화가치가 낮아졌다기 보다는 글로벌한 달러강세의 현상이라고 보여집니다.

    현재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한 미국의 수단 중 하나로서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달러화의 가치가 오르면서 수입물품의 가격이 오르게 되는 현상 즉 인플레이션의 현상이 더 안좋습니다만, 미국의 입장에서 보면 달러의 강세장을 유지하면서 수입물품의 상대적인 가격을 낮게 형성시킬 수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환율 방어를 지속적으로 하고 있습니다만, 글로벌한 추세를 이겨내지는 못하고 계속 환율이 올라가고 있는 상황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개인적으로 보았을때는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한 미국의 금리인상 정책이 계속되는 한 어느정도 이 상황이 유지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고인플레이션,고금리,고환율등 이런문제점등이 발생하는 요인이 사라지면 안정된 경제상황을 볼수 있을것으로 생각되는데 소비자물가지수라던지 러시아와 우쿠라이나 종전등으로 에너지문제점등이 해결되면 어느정도 긍정적인 효과는 볼수 있을것으로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달러가 안정이 찾기 위해서는 전세계적인 인플레이션이

    해결되고 이와 더불어서 원자재 가격 등이 안정을 취하고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해소 및 전세계적인 경기침체 등이

    선행되어야 달러의 가격도 안정세를 취할 것으로 보이며

    국내와 같은 경우에는 현재 금리차가 벌어져서 원달러 환율이

    높은 것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미국이 기준금리를 내년말까지 올리기로 예정한 상황이라 내년말까지는 특별한 이벤트가 없는 한 환율이 쉽게 떨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보이는데요. 다만 중간에 물가가 잡히는 지표가 나오거나 또는 경기가 급격하게 침체되는 상황이 발생하면 미국이 더 이상 기준금리를 올릴 수 없기 때문에 환율도 같이 떨어지지 않을까 예상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민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내 금리 인상은 원화를 위한 조치일 뿐 근본적으로 달러 강세가 원상태로 가려면 미국이 긴축 기조를 멈추고 유럽의 상황도 좋아져야 합니다. 그 전까지는 이전 수준으로 돌아오기 힘들어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