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에 잡류들은 주로 어떤 역할이었나요?
안녕하세요.
고려시대에 있었던 잡류들은 신분이 어떻게 되며
주로 무슨 역할을 담당했나요?
그리고 잡류들이 살아가는 현실은 어떠했나요?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시대 이속직(吏屬職)의 말단에는 잡역에 종사하는 잡류(雜類)가 있었다. 잡류로 지칭된 이속은 문복(門僕) · 주선(注膳) · 막사(幕士) · 소유(所由) · 장수(杖首) · 나장(螺匠) · 구사(驅史) · 전리(電吏) 등이었다. 잡류는 소속처에 따라 다양한 잡무를 나누어 담당하였다.
문복은 출입문을 지키는 수위(守衛)를 담당하는 잡류로서, 여러 관청에 소속되었는데, 중서문하성에는 10명이 배치되어 있었다. 주선이 맡은 업무는 기록이 없어 분명하지 않다. 다만 당(唐)나라의 경우 다른 이속에 비하여 압도적으로 많은 인원이 상식국(尙食局)에 배치된 것으로 보아 고려에서도 상식국에서 주식(主食)의 지휘를 받아 식사 준비를 맡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막사는 수궁서(守宮署)에 50명, 공역서(供驛署)에 40명, 상사국(尙舍局)에 40명씩 배치되어 있었는데, 궁궐에서 필요한 물품을 준비하거나 관리하는 공어(供御)와 여러 가지 설비를 담당하는 장설(張設) 등의 잡다한 일을 수행하였다. 소유는 어사대에 50명, 장수는 형조에 26명이 배치되어 있었는데, 이들은 나장과 마찬가지로 죄인을 체포하거나 연행하고 심문하는 과정에서 형관(刑官)의 보조 역할을 하였다.
구사(驅史)는 구사(驅使)로도 쓰이는데 주로 관리들을 호종(扈從)하는 임무를 맡았다. 그런데 구사는 관료들의 품계에 따라 차등 분배되었기 때문에 지급된 구사의 수는 해당 문무반 관직자의 지위를 가늠하는 지표가 되었다. 전리는 중서문하성의 이속으로 180명에 달하였는데, 여러 관청과 연락을 담당하는 사령(使令)의 직무를 맡았다.
한편 잡류는 소속처에 따라 관속잡로직(官屬雜路職)과 관급잡로직(官給雜路職)으로 구분하였다. 관속잡로직은 여러 관서에 소속되어 사령이나 형관 보조(刑官補助) · 식찬(食饌) · 재봉(裁縫) · 의료(醫療) · 진설(陳設) · 수문(守門) 등의 업무를 담당하였다. 관급잡로직은 관료들에게 품계의 높낮이에 따라 차이를 두어 지급되었으며, 각종 심부름이나 호종의 임무를 맡았다.
[네이버 지식백과] 잡류 [雜類]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잡류는 고려시대 미입사 말단 이속직으로 여러 관서에 소속되어 다양한 잡역에 종사하거나 관료를 호종하는 임무를 담당했습니다.
잡류로 지칭된 이속은 문복, 주선, 막사, 소유, 장수, 나장, 구사, 전리 등으로 문복은 출입문을 지키는 수위를 담당하는 잡류로 여러 관청에 소속되었으며 상식국에서 주식의 지휘를 받아 식사 준비를 맡은 것으로 추정합니다.
막사는 궁궐에서 필요한 물품을 준비하거나 관리하는 공어와 여러가지 설비를 담당하는 장설 등의 잡다한 일을 수행, 소유는 어사대 50명 장수는 형조에 26명이 배치되어있는데 이들은 나장과 마찬가지로 죄인을 체포하거나 연행하고 심문하는 과정에서 형관의 보조 역할을 했습니다.
구사는 주로 관리들을 호종하는 임무 입니다.
잡류는 품관과 단절되어있어 입사직서리까지만 승진이 가능했고 벼슬할수 있는 권리인 사환권과 과거 응시자격인 부거권 등에서도 제약이 있었으며 향, 부곡, 악공, 잡류의 자손은 과거에 응시할수 없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잡류라 함은 이속(吏屬)인 서리직과 잡류직, 남반, 기술관, 향리, 하급 장교등이 있는데 이러한 부류는 귀족도 아니고 천민도 아닌 중간 계층으로 조선 시대에 중인에 해당하는 부류 입니다. 여러 관서에 소속되어 다양한 잡역에 종사하거나, 관료를 호종하는 임무를 담당하였고 국가에서 녹을 받아서 생활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