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경건한개미새67
경건한개미새67

귀쪽에 붙이는 멀미약은 어떻게 작용하는건가요?

성별
남성
나이대
40

멀미약중에 귀밑에 부착하는 형태가 있잖아요 약을 입으로 섭취하는게 아니고 그냥 스티커처럼 붙이는건데 어떻게 신체에 작용을 해서 멀미를 막아주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스코폴라민이라는 성분이 피부를 통해 천천히 흡수되면서 뇌의 멀미 중추에 작용하는 거에요. 피부 밑으로 약물이 스며들어서 혈관을 통해 뇌까지 전달되는 방식이죠. 먹는 약보다 오래 지속되고 구토 증상이 있어도 약효가 유지된다는 장점이 있어요. 다만 약물이 천천히 흡수되니까 여행 3~4시간 전에는 붙이셔야 효과를 보실 수 있어요.

    1명 평가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병관 내과 전문의입니다.

    귀로 붙이는 멀미약은 일반적으로 스코폴라민 이라는 항콜린제라고 합니다.

    귀 뒤의 피부를 통해 천천히 체내로 흡수되면서 멀미 증상을 완화시킵니다.

    진통제나 기관지확장제등 패치 형태로 붙여서 전신 작용을 하는 약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패치를 통해서 서서히 체내에 약성분이 흡수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

    귀 뒤에 부착하는 멀미약은 주로 스코폴라민이라는 약물을 사용합니다. 이 약물은 부착제를 통해 피부에 흡수되어 체내로 들어가서 멀미를 유발하는 신경전달을 억제합니다.

    멀미는 뇌의 균형 감각을 담당하는 내이와 시각 정보 간 불일치로 발생합니다. 스코폴라민은 이 과정을 조절하는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멀미를 유발하는 신경 신호를 억제합니다. 귀 뒤쪽 피부는 비교적 얇고 혈관이 많아서 약물이 흡수되기 좋은 부위입니다. 스코폴라민은 내이에서 시냅스 신경전달물질 아세틸콜린의 작용을 억제하여 내이와 시각 정보의 불일치로 인한 혼란을 줄여줍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귀밑에 붙이는 멀미약은 주로 스코폴라민이라는 물질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피부를 통해 흡수되어 귀내부 신경섬유에 직접 전달됩니다

    스코폴라민은 부교감신경을 억제하는 작용을 합니다

    구체적으로는 뇌의 중추신경계에서 무스카린 수용체에 아세틸콜린과 경쟁적으로 결합하여 부교감신경의 흥분을 차단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