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상증자 실패는 주가하락 요인인지요?
안녕하세요.
유상증자는 그 자체로도 악재인데요.
이것이 실패가될수도 있나요?
그리되면 해당 주는 악재가 되어 헤어닐얼수 없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유상증자도 당연히 실패할 수 있습니다.
유상증자에 실패하면 자금 모집에 실패하게 되고
당연히 악재로 작용할 여지가 있습니디.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네. 시장(투자자들)이 해당기업의 자금조달을 통한 투자가 향후 기업성장에 긍정적이고, 조달을 위한 유상증자 가격이 적정하다고 평가한다면 해당 유증은 성공적일 수 있습니다. 실패하는 이유는 그 두가지가 충족되지 못하기 때문이라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어떤 유상증자인지에 따라서 실패가 주가 하락의 원인이 될 수 있어요. 다만 대부분의 유상증자 실패는 회사의 미래가치가 좋지 않아서 유상증자 대금을 납입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주가가 하락하는 원인이 되요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유상증자의 실패의 경우 기존주주가 향후 주가에 대한 시각이 부정적인 것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유상증자의 실패 역시 주가에 부정적으로 작용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유상증자도 당연시 실패할 수 있습니다. 공모를 했지만, 주당 가격이 너무 비싸다거나, 해당 기업에 전혀 비전이 없다고 느낀다면, 자금모집이 안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것은 회사의 자금사정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악재로 작용합니다.
올해 1분기에 있었던, 실리콘벨리은행 또한 유상증자를 추진했으나, 실패함으로서 결국에는 파산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유상증자 실패는 일반적으로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유상증자는 기업이 추가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주식을 발행하는 것인데, 이는 기업의 자금 확보와 성장 가능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신호입니다. 따라서 유상증자가 실패하면 기업의 자금 조달에 실패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이는 투자자들에게 기업의 불확실성과 위험성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투자자들은 주식을 매도하거나 주가를 하락시키는 판단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주가하락은 항상 유상증자 실패의 결과는 아니며, 기업의 경영상태, 시장 조건, 투자자들의 신뢰도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유상증자 실패가 주가하락의 요인인지는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