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불같은날다람쥐53
불같은날다람쥐53

ph가 1인 산을 묽히면 ph가 달라지나요?

ph와 농도 사이의 관계를 잘 모르겠어요.

예를 들어, 만약 ph가 1인 산을 묽히면 ph가 높아지나요? 그렇지 않다면 왜 그런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굉장한호돌이84
      굉장한호돌이84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pH는 수용액 내 H+ 이온의 양을 뜻하는 농도입니다.

      즉, 농도를 물게만들어 단위 부피당 H+ 이온의 양이 줄어들게되면 pH가 증가하게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pH는 사람이 만든 단위일 뿐입니다.

      중성일 때 pH7, 수소이온의 농도가 높을수록 pH는 낮은 수를, 수소이온의 농도가 낮으면 pH를 높은 수로 하자고 정한 것입니다.

      pH가 1인 강산성의 물질에 물을 타 농도가 옅어지게 되면 pH는 높아집니다.

      다만, 중성에 가까워질 뿐 그 이상은 올라가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pH7을 초과한 염기를 띈 경우 OH의 농도를 따집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묽히면 ph가 높아집니다. ph의 정의는 용액속 수소이온의 농도입니다. 그런데, 묽히면서 용액에 물이나 다른 액체를 넣게되면 수소이온의 농도가 감소하므로 ph는 높아지죠.

    • pH는 결국 산성의 농도입니다.

      따라서 물을 붓게되면 농도가 얕아지기 때문에 pH가 높아집니다.

      즉, 물의 pH인 7에 가까워 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