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주식 저평가 상태가 맞나요? 알려주세요!
코리아 디스카운트 라고 말하잖아요
그만큼 한국 주식이 인정을 못받고 있다는 말인데
너무도 오랜 시간동안 저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이쯤되면 저평가가 아니라 이정도 오랜기간 부진한것이면 이것이 오히려 정당한 평가가 아닐까?
싶기도 하네요.
한국 주식은 저평가 상태인 것인지, 아니면 이런 모습이 사실 진짜 가치를 반영한 것인지
고수님들이 꼭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경제 10위권 경제 대국인데요 지금은 최근에 13위로 떨어졌다고 합니다 경제 대국이긴 하지만 자살률 교통사고율 노인 빈곤율 복지 비용 꼴등 출산 꼴등 모두 세계 1위를 하고 있습니다 한마디로 초등학생에게 100억이 있는 겁니다 이렇게 뿌리가 든든하지 못한 국가이기 때문에 많은 것들이 부자들에게 편중되어 있고 소액 주주들은 나 몰라라 하고 있는 상황이고요 게다가 휴전 상태 아니겠습니까 그러니 오히려 우리가 우리 스스로를 고평가한 것은 아닐까 싶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대로 저평가 되었다는 기준은 PER로 계산하였을 때를 말하는 것이지만 자체 밸류가
낮기 때문에 멀티플도 낮게 주었다면 PER10도 높은 숫자는 아닙니다
따라서 현재 저평가 상태라고는 하지만 실제 우리나라 기업이 하는 행태를 보면 밸류가
낮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고 추가로 기업들의 주주 뒷통수를 치는 공시등을 보면 아직 하락할
갭이 더 남았다고 판단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한국 주식 저평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말씀대로 어떤 측면에서 보면 지금의 한국 주식의 모습이 원래의 모습일 수도 있습니다.
다만 우리나라의 PBR 등이 선진국에 비해 많이 낮은 것도 사실이라고 하니
저평가가 된 것이 맞습니다.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아직까지는 금리와 환율이 안정된 상태가 아니고 금투세도 폐지가 되지 않았기 때문에 한국 증권시장이 매력적이기 어렵다고 생각듭니다. 여기에 트럼프 대통령 당선에 따른 지정학적 리스크까지 있어서 본래 기업의 가치 대비 저평가된 요인들이 있다고 봅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우리나라 주식과 같은 경우에는
다른 국가들에 비하여 상당한
저평가를 받고 있다고 보며
고질적인 주식시장의 문제로 인하여
이러한 저평가를 받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정치적 불안정성, 기업 지배구조 문제, 외국인 투자자의 선호도 등 여러 요인에 기인합니다.
하지만 오랜 기간 저평가가 지속되었다면, 이는 시장이 한국 기업의 성장 가능성이나 리스크를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즉, 저평가가 단순한 시장의 오판이 아닐 수도 있다는 점입니다.
예 실제로 상당히 저평가 상태입니다.
저평가냐 아니냐는 과거 코스피 대비 지금 per pbr 을 볼수도있고
다른나라들의 가치평가 대비 우리나라 코스피 가치평가를 비교해볼수도 있는데
어떤것으로 봐도 저평가 상태는 맞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증시의 PER을 계산해보면 0.96 정도인데요. 이는 주식시장이 저평가를 받고 있다는 의미이긴 하지만, 그렇게 크게 저평가 상태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