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프리저
프리저

뇌졸중에대해궁금해서 질문합나다..

10년뒤면 뇌졸중 심혈관질환을 예방 그리고 치료할수있도록 더 실현가능성도 궁금합니다 고혈압이 주원인이라고도하지만 미래에는 어떤 기술인지는 모르겠지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뇌졸중은 뇌혈관이 막히거나(허혈성), 터지면서(출혈성) 생기는 질환으로, 가장 큰 위험 요인 중 하나가 말씀하신 고혈압이고, 여기에 당뇨, 고지혈증, 흡연, 심방세동 같은 심혈관질환이 동반되면 위험이 크게 올라갑니다.

    현재까지의 예방은 주로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 관리, 금연, 체중 관리 등 생활 습관 교정으로 이루어지고, 치료는 허혈성의 경우 혈전용해제, 혈전 제거 시술, 출혈성은 외과적 감압이나 출혈 조절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향후 10년 내 가능성이 높은 발전 방향
    1. 정밀 모니터링: 스마트워치, 웨어러블 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혈압, 부정맥, 혈액 흐름을 감지해 뇌졸중 전조 신호를 미리 잡아내는 기술이 이미 연구되고 있어 조기 대응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2. 신경보호제·재생치료: 뇌세포 손상을 줄이는 약물(신경보호제)이나, 손상된 뇌 조직 회복을 돕는 줄기세포·유전자 치료가 임상 단계에서 빠르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3. 개인 맞춤형 약물, AI 예측: 인공지능 기반으로 개인의 유전자·생활습관 데이터를 분석해 누가 뇌졸중에 더 잘 걸릴지 예측하고, 그에 맞는 맞춤 예방약을 쓰는 시대가 올 수 있습니다.

    4. 시술 기술 발전: 혈전 제거 기구나 뇌혈관 스텐트, 혈류 조절 기기 등이 더 정교해져 시간 지연 없이 더 많은 환자를 치료할 수 있게 될 전망입니다.

    감사합니다.
    추가로, 현재로서 가장 확실한 방법은 혈압 관리와 생활습관 개선이며, 미래 기술은 이를 보완해 더 안전망을 만들어 줄 것으로 예상됩니다.

    1명 평가
  • 단정지어 말하기는 어렵지만, 현재보다는 훨씬 발전이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맞춤형 정밀 의료와 첨단 의료 기기 분야에서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가장 큰 변화는 고혈압과 같은 주요 위험 요인의 관리 부분입니다. 인공지능과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혈압이나 심박수 등을 실시간으로 예측 및 모니터링하는 개인 맞춤형 예방 시스템이 보편화될 것입니다.

    그리고 치료 분야에서는 매일 약을 복용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RNA 간섭 기술 기반의 신약이 유전자 수준에서 고혈압 경로를 장기간 차단하여, 복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디지털 트윈과 신경 자극 기술을 활용하여 뇌-심혈관 조절 기능을 조율하고 약물 의존도를 줄이는 비약물적 치료법을 기대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질환을 완전히 정복한다기 보다는 빠르게 예측하고, 개인 맞춤형으로 관리하며, 근본적인 치료에 가까워지는 시대를 기대할 수 있을 것입니다.

    1명 평가
  • 뇌졸중 및 심혈관 질환 예방과 치료 기술은 유전체 분석을 통한 맞춤형 치료, 줄기세포를 활용한 손상된 조직 재생, 인공지능 기반의 정밀 진단 및 예측 시스템 등을 통해 발전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웨어러블 기기를 활용한 지속적인 건강 모니터링으로 고혈압과 같은 위험 인자를 조기에 관리하는 기술도 보편화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