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변에서 모래놀이하다가 귀에 들어간 흙은 어떻게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20개월 아기가 중이염 진단받았습니다
감기증상이 전혀없었고 귀를 자꾸 만지는거 같아서 의심하다가 몇일후 미열이 있어서 병원에 가서 진단받고 항생제 타왔어요 (캐나다 거주중)
다른 감기증상은 딱히 없고 열이 나던날 콧물이 갑자기 좀씩 나오던거 말고는 왜 중이염이 왔나 싶어서 기억을 더듬어보던중
1주일 전에 해변에서 모래놀이를 하다가 귀에 모래가 들어간거 같아서 물티슈로 귀 겉부분을 닦아낸적이 있어요
그게 원인이 아닐까 추측중입니다
콧물도 열 처음나던 하루 외에는 나지않아서 딱히 감기 같지두 않구요..
이런 경우에 모래가 귀에 진짜 들어가서 그런거면 항생제만 먹어도되나요? 제거해주지 않아도 되나요?
많이 들어간건 아닌거같고 모래를 던지고 귀를 만지고하면서 약간 묻어있는걸 보긴한건데….
캐나다는 이비인후과를 따로 방문할수있는게 아니라ㅠㅠ 어떻게 해야하나 걱정되네요..
귀에 있는 모래가 후에 또 문제를 만드는건 아닐까요?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의사의 진료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해주세요.
아이가 중이염으로 진단받아 걱정이 많으시겠어요. 해변에서 모래놀이 후 귀에 모래가 들어간 것이 원인일까 염려하시는 마음도 이해가 됩니다. 일반적으로 귀에 들어간 작은 모래는 저절로 배출되거나, 병원에서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중이염 증상이 나타났고, 항생제를 복용 중이라면, 우선은 처방받은 약을 꾸준히 복용하면서 경과를 지켜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항생제 복용 후에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거나, 귀에서 분비물이 나오거나, 아이가 계속 귀를 만지는 등의 불편함을 호소한다면, 다시 병원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의사 선생님과 자세한 상담을 통해 추가적인 치료나 관리가 필요한지 확인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아이의 빠른 쾌유를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의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20개월 아기가 중이염 진단을 받고 항생제를 처방받았다니 마음이 많이 쓰이시겠어요. 귀에 모래가 들어갔던 것을 원인으로 의심하고 계신 것 같은데요. 일반적으로 귀에 모래가 들어갔다고 해서 중이염으로 직접 이어지는 경우는 드뭅니다. 하지만 귀에 들어간 이물질이 염증을 유발할 수 있는 가능성은 있습니다. 다만, 아이가 이미 항생제를 복용 중이니 염증을 가라앉히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모래가 귀에 들어갔을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할 점은 이물질을 억지로 제거하려고 하지 않는 것입니다. 귀 내부는 굉장히 민감하므로, 무리하게 제거하려다 더 큰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귀에 들어간 모래가 더 이상 귀 안쪽으로 이동하지 않는다면, 자연적으로 배출되기를 기다리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도 걱정이 되신다면 소아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보다 구체적인 진단을 받으시는 것이 안전합니다.
캐나다에서는 이비인후과 전문의를 자유롭게 방문하기 어려운 점이 마음에 걸리실 수 있습니다. 우선 아기가 귀를 자주 만지지 않도록 주의해주시고, 현재 처방받은 항생제를 꾸준히 복용하도록 지켜봐 주세요. 아기의 상태가 나아지지 않거나 이상 증상이 계속된다면, 병원의 소아과에서 더 자세한 상담을 받는 것이 좋겠습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20개월 아기가 중이염 진단을 받았고, 최근 해변에서 모래놀이 중 귀에 모래가 들어갔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신 듯 합니다. 실제로 귀에 소량의 모래가 들어갔다 하더라도, 외이도(귓구멍 바깥 부분)에만 있었다면 대부분은 자연스럽게 배출되거나, 가볍게 닦아낸 것만으로 충분합니다.
하지만 모래가 외이도를 지나 고막 가까이 들어갔거나, 세균이 함께 침투했다면 감염의 원인이 될 수는 있어요. 다만, 중이염은 대부분 바이러스성 감기나 코막힘으로 인해 이관 기능이 저하되어 생기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모래가 직접적인 원인일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현재 항생제 치료를 받고 있고, 증상이 호전되고 있다면 굳이 귀를 추가로 세척하거나 조작할 필요는 없습니다. 오히려 불필요한 세척은 외이도 손상이나 2차 감염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다만 향후에도 아이가 귀를 계속 자주 만지거나 분비물, 통증, 발열이 재발한다면, 소아과나 가정의와 상의해 이비인후과 전문의 진료 의뢰(Referral)를 요청하시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