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의 sk온 lg화학같은 기술력 좋은 베터리회사들이 있는데 왜 byd제품을 테슬라는 쓰는 걸까요?
국내의 sk온 lg화학같은 기술력 좋은 베터리회사들이 있는데 왜 byd제품을 테슬라는 쓰는 걸까요?
기술력부분이 중국이 많이 따라왔지만 아직 투톱으로 알고있는데 왜 점유율 차이가 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BYD는 중국 기업이기는 하나 리튬이온 배터리중에도 리튬철인산 배터리의 기술력이 강한 기업입니다.특히 이 리튬철인산 배터리의 경우 안전성과 긴수명과 특히 가격이 저렴하여서 안전성과 수명 가격등이 모두 잘맞아서 전기차 배터리에 주로 많이 사용되는 것입니다. 다른 배터리에도 LG나 SK등이 많이 사용되지만 특히 전기차에는 BYD가 강점을 보이고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
테슬라가 BYD의 배터리를 사용하는 이유는 다양한 요소를 고려한 선택입니다. BYD는 자체적으로 배터리를 제조하고 전기차 생산까지 통합적으로 운영하는 기업으로, 가격 경쟁력과 공급 안정성 면에서 강점이 있습니다. 특히, BYD의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는 고가의 니켈과 코발트를 사용하지 않아 생산 비용이 낮고, 안정성이 높아 보급형 전기차 모델에 적합합니다. 반면 SK온과 LG화학은 니켈 함량이 높은 고성능 배터리를 주력으로 하며, 주행거리가 중요한 프리미엄 차량에 주로 채택됩니다. 점유율 차이는 BYD가 중국 내수 시장을 기반으로 높은 생산량과 가격 경쟁력을 확보했기 때문입니다. 테슬라는 다양한 배터리 기술과 공급망을 활용해 차량 모델과 시장 전략에 맞는 배터리를 선택하는데, BYD 배터리는 경제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고려한 선택으로 볼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신란희 전문가입니다.
테슬라가 BYD 배터리를 사용하는 이뉴는 가격 경쟁려고가 현지 조달의 이점 때문입니다.
중국 시장에서의 생산 비용 절감과 공급망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BYD와 협력하고 있습니다.
기술력은 SK온과 LG 화학이 여전히 선도적이지만, BYD의 중저가 시장에서의 높은 점유율이 이러한 선택을
만들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하성헌 전문가입니다.
byd 제품은 상대적으로 국내 제품에 비해 그 가격성능비가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기술력이 비등하다면 가격이 우수한 제품을 쓰는게 효율적이죠.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테슬라가 BYD 배터리를 사용하는 이유는 BYD가 가격 경쟁력과 공급망에서 강점을 가지며, 자사의 전기차 배터리 기술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고 있기 때문입니다. SK온과 LG화학은 기술력에서 우수하지만 배터리 공급의 안정성 생산 비용, 협력 관계 등 다양한 요소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테슬라는 다양한 배터리 공급업체와 협력하며 가격과 생산 효율성을 고려한 선택을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BYD배터리는 국개 기업의 배터리 보다 가격이 저렴하고 충전속도 또한 기존 배터리보다 충전 속도가 빠릅니다.
또한 BYD는 뛰어난 안전성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입니다.
테슬라가 BYD 배터리를 사용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첫째, 공급망 다변화 전략 때문입니다. 여러 배터리 공급업체와 계약을 맺음으로써 공급 안정성을 높이고 리스크를 줄일 수 있습니다. 둘째, 비용 측면에서의 장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BYD는 수직 통합형 기업 구조로 원가 절감에 유리하며, 이에 따라 경쟁력 있는 가격을 제공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지역적 유리함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중국 내에서 생산과 판매가 이루어질 경우, 현지 업체와 협력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질문자분이 말씀하신 국내 기업들도 탁월한 기술력을 가지고 있지만, 이러한 다양한 요소들이 영향을 미치는 것이죠.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