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자닌 펀드(Mezzanine Fund)란?
메자닌 펀드(Mezzanine Fund)라는 게 있는데요. 메자닌 펀드는 어떤 성격의 펀드를 말하는 것인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메자닌 펀드'란 채권과 주식의 중간 위험단계에 있는 상품에 투자하는 펀드를 의미합니다.
이는 이탈리아에서 메자닌은 1층과 2층 사이에 있는 중간층에 있는 공간을 뜻하는 단어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메자닌이란 말은 이태리어로 1층과 2층 사이에 있는 중간층이라는 뜻으로, 주식과 채권의 사이에 놓여있는 주식 관련 채권에 주로 투자하는 특성 때문에 이같은 이름이 붙여졌다고 합니다. 메자닌펀드란 신주인수권부사채(BW), 전환사채(CB), 후순위채권 등 주식관련채권에 투자하는 간접펀드 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메자닌펀드란 신주인수권부사채(BW), 전환사채(CB), 후순위채권 등 주식관련채권에 투자하는 간접펀드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영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메자닌이랑 사전적으로는 이탈리아어로 건물 1층과 2층 사이에 있는 라운지 공간을 의미합니다.
경젝학적으로 보면 펀드 발행 시, 동일한 요건이 아니라 Tranche라고 하여 채권 발행의 조건을 달리하여 발행하는 경우 쓰이는 용어입니다.
일반적으로 1순위 -senior tranche(굳이 0순위가 있다면 super senior)
2순위-mezzanine tranche
3순위-equity tranche 로 구분하여
순위가 높을수록 안정적이고 cash flow를 먼저 선취하는 구조입니다.
1순위는 채권의 성질을 지니고 있으며 3순위는 주식의 성질을 지니고 있습니다.
즉, 2순위인 메자닌은 채권과 주식의 성질을 모두 가지고 있는거라고 할 수 있죠
발행회사 입장에서는 1순위에 비해 다소 자본비용이 높긴 하지만 전체 자본비용 측면에서 주식만 발행하는 것보다는 훨씬 비용이 절감됩니다. 또한, 완전히 안정적인 1순위에 비해 3순위의 Equity buffer(보통 손실을 먼저 인식하는 트렌치)를 통해 일정수준의 안정성도 보유하면서 1순위에 비해 높은 수익률을 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메자닌 펀드란 주식으로 바꾸는 것이 가능한 채권에 투자하는 펀드로, 전환사채·신주인수권부사채·교환사채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메자닌이라고 하는 것은 1~2층 사이에 있는 공간을 의미하는 단어로 채권과 주식의 중간 위험에 있는 상품에 투자를 하는 펀드를 메자닌펀드라고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