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무역

아하그렇구나생각하면 아하!!
아하그렇구나생각하면 아하!!

중량화물과 부피화물 이란 무엇인가요?

회사에서 물건을 수입하는데 거래처에서 중량화물 부피화물을 설명해주는데 아는척은했지만 이해가 가지않아서요.

자세하게 무슨 의미인지와 비교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성 관세사입니다.

    중량화물은 부피에 비해 무게가 많이 나가는 화물을 뜻합니다.

    부피화물은 중량화물과는 반대로 무게에 비해 부피가 많이 나가는 화물을 뜻합니다. 부피를 계산하는 법은 가로*세로*높이이며, 이것을 CBM이라고 합니다. CBM은 Cubic Meter의 줄임말입니다. 예를 들어 가로 1m, 세로 1m, 높이 1m의 화물을 1 CBM이라고 합니다.

    보통 운임은 중량과 부피 중 큰 것을 기준으로 계산되는데, 해상운송에서는 1CBM을 1,000KG으로 보며, 항공운송에서는 1CBM을 약 167KG으로 간주합니다. 예를 들어, 화물의 무게가 1CBM 당 1,000KG 미만이라면 부피화물로 보아 CBM 당 운임을 계산합니다. 반대로 1CBM 당 1,000KG 이상이라면, 중량화물로 간주하여 실제 중량을 CBM으로 변경하여 운임을 계산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간단하게 운임을 책정할때 무게를 기준으로 책정할 것인지, 부피로 책정할 것인지를 나눈 것입니다.

    예를 들어, 철강같은 경우에는 부피대비 무게가 많이 나가는 편입니다. 이에 따라 선사 입장에서 부피보다는 무게를 기준으로 운임을 책정하는 것이 선복공간 대비 이익일 것입니다. 반면에, 의류와 같은 물품들은 상대적으로 가볍기 때문에 무게보다는 부피로 계산하는 것이 선사의 입장에서 더 이익일 것입니다.

    현재, 선사들은 1000kg = 1cbm을 기준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하기 부분을 초과하는 무게를 가진 화물에 대하여는 중량화물 그리고 부피가 이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부피화물로 본다고 보시면 될 듯 합니다. (항공의 경우 167kg = 1cbm)

    * CBM이란 Cubic Meter의 줄임말로서, 가로 X 세로 X 높이라고 보시면 될 듯 합니다. 1CBM은 가로, 세로, 높이가 모두 1M인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

    기본적으로 항공 운송은 선박 운송보다 공간(space)과 무게의 제약으로 인해 부피 중량과 화물 중량을 비교하여 큰 값을 적용합니다.

    화물의 무게는 가볍지만 크기는 큰 경우, 공간 차지를 많이하게 되고 그만큼 다른 화물을 못 싣게되니 공간을 차지하는 비용을 받는 것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즉, 부피 중량(Volume Weight)과 화물 중량[화물+포장 무게인 총 중량(Gross Weight)을 의미]을 비교한 다음, 중량이 더 큰 쪽을 운임 적용 중량으로 선정하여 계산하는 것이죠.

    부피 중량을 측정하는 단위로 CBM을 사용하고, CBM은 가로•세로•높이•단위•중량•수량을 고려하여 산출됩니다.

    1CBM = 약 167kg으로 환산하여 비교하니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운임산정방식에서의 중량화물과 부피화물을 말씀하시는 것으로 이해됩니다.

    무역에서는 국제운송이 필수적인데, 화물의 '중량'에 따라 운임이 산정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말하는 중량은 실제 무게를 기준으로할수도 있고 부피를 기준으로 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중량을 기준으로 운임이 산정되는 부피에 비해 무게가 많이 나가는 화물을 중량화물

    부피를 기준으로 운임이 산정되는 무게에 비해 부피가 큰 화물을 부피화물이라고 부르게 됩니다.

    https://1cmblog.com/what-is-volume-weight-and-cbm/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