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물고기는 왜 어떻게 숨을 쉬나요???

물고기는 어떻게 숨을 쉬나요?
물고기는 아가미를 통해 물속의 산소를 흡수합니다. 이 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그리고 다양한 물고기 종류에 따라 호흡 방식이 어떻게 다른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김지호 박사
    김지호 박사
    서울대학교

    안녕하세요.

    물고기는 폐호흡을 하는 인간과는 달리 '아가미 호흡'을 하는 생명체입니다. 물고기는 아가미를 통해 물속의 산소를 흡수하는데요, 이 과정은 주로 확산이라는 원리에 의해 이루어지며, 물고기의 종류에 따라 호흡 방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물고기는 입으로 물을 들이마신 후 아가미로 물을 밀어냅니다. 아가미는 얇고 넓은 필라멘트 구조로 되어 있으며, 물 속의 산소가 이 필라멘트를 통해 혈액으로 확산됩니다. 아가미의 필라멘트는 아가미판이라는 미세한 구조로 나뉘어 있어 산소와 이산화탄소 교환이 원활히 이루어집니다. 산소 농도가 높은 물은 아가미를 지나며 혈액 속의 낮은 산소 농도로 인해 확산을 통해 산소가 혈액으로 이동합니다. 물고기는 물의 흐름과 혈액 흐름을 반대 방향으로 유지하는 역류 교환 시스템을 사용하여 산소 흡수 효율을 극대화합니다. 이로 인해 산소가 낮은 농도로 물을 떠날 때까지 지속적으로 혈액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뱀장어와 메기처럼 일부 어류는 아가미 외에도 피부나 입점막을 통해 산소를 흡수할 수 있습니다. 이는 이들이 오염된 물이나 산소 농도가 낮은 환경에서도 생존할 수 있게 합니다. 일부 물고기, 예를 들어 폐어(lungfish)는 산소 농도가 낮은 물에서도 생존할 수 있도록 폐처럼 작용하는 기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물뿐만 아니라 공기 중의 산소도 흡수할 수 있습니다. 상어는 지속적인 운동이 필요합니다. 이들이 움직이며 물을 아가미로 흘려보내기 때문에, 멈추면 호흡에 문제가 생깁니다. 일부 상어는 아가미에 물을 강제로 흡입할 수 있지만, 대부분은 끊임없이 움직여야 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물고기의 아가미는 얇은판으로된 구조가 여러겹 겹쳐있고, 이 판에는 모세혈관이 많이 존재하여 지나가는 바닷물과 물질교환이 활발합니다.

    삼투압현상에의해 농도가 높은곳에서 낮은곳으로 물질이 이동하여 바깥에선 체내로 산소가이동하고 체내에선 바깥으로 이산화탄소가 이동하는 작용이 일어납니다.

    마찬가지로 얻은산소로 물질대사가 일으켜 에너지를 얻어활동합니다.

  • 아가미를 가진 어류는 아가미에서 물속 기체를 교환하는 외호흡을 합니다.

    어류가 입으로 물을 빨아들이고, 이 물이 아가미를 지나며 아가미의 모세혈관으로 물속에 있던 산소가 녹아들어갑니다. 그리고 남은 물은 아가미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이죠.

    이때 호흡매질이 흐르는 방향은 아가미 2차 새엽의 모세혈관을 흐르는 혈액의 흐름과 반대입니다. 이러한 구조는 아가미가 물과 닿는 면적을 늘려주어 좀 더 많은 산소를 흡수 할 수 있는 구조인 것이죠.

    물고기의 종류가는 다양하다 할지라도 기본적으로 아가미로 숨을 쉬는 어류라면 이런 원리는 거의 동일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물고기는 모세혈관이 많은 아가미를 통해 물속에 녹아 있는 용존산소를 받아들이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면서 숨을 쉽니다. 감사합니다.

  • 물고기는 아가미를 통해 물속의 산소를 흡수하여 숨을 쉽니다. 물이 아가미를 지나면서, 아가미 속의 모세혈관이 물 속에 녹아 있는 산소를 흡수하고 동시에 이산화탄소를 배출합니다. 대부분의 물고기는 입을 통해 물을 들이마시고 아가미를 통해 내보내는 방식으로 호흡하며, 아가미는 얇은 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어 산소와 이산화탄소 교환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집니다. 물속 환경에 따라 일부 물고기들은 호흡 보조 기관이 발달해 공기를 직접 들이마시기도 하며, 잉어나 메기는 산소가 부족할 때 공기 중에서 산소를 흡수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