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일단날씬한봉골레
일단날씬한봉골레

생물학적으로 완벽한 인간은 존재할 수 있나요?

생물학적으로 완벽한 인간은 무엇인가요? 생물학적으로 완벽하다는 것은 사망하지 않는 상태에 이른다고 하는 것인가요? 질병에 걸리지 않고 노후화 되지는 않는 인간, 무한한 수명을 지닌 인간은 존재할 수 있나요? 수많은 과학 기술과 의료 기술의 발전으로 만들어질 가능성은 없나요?

현재 인간이 무한한 수명을 지니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생물학적으로 완벽한 인간이란 질병, 노화, 죽음의 과정을 겪지 않으며, 모든 환경적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존재를 의미할 수 있지만, 이는 생물학적 원리와 진화의 관점에서 실현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자연의 법칙과 생명체의 한계를 넘어서야만 가능한 일이기 때문에 여러가지 이론적, 실질적인 제약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 인간이 무한한 수명을 지니지 못하는 이유

    현재 인간이 무한한 수명을 지니지 못하는 이유는 주로 세포의 노화와 손상 때문입니다. 인간의 세포는 일정한 횟수만큼 분열할 수 있는 한계를 가지며, 이 한계를 헤이플릭 한계(Hayflick limit)라고 합니다. 이는 세포가 분열할 때마다 텔로미어(telomere)가 점점 짧아지기 때문인데, 텔로미어는 염색체의 끝부분을 보호하는 구조물로, 이를 보호하지 못하면 세포의 기능이 저하되고 결국 세포가 더 이상 분열하지 않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은 세포 노화(cellular aging)를 촉진하고, 개체의 노화를 초래합니다.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체내에는 돌연변이와 손상된 세포가 축적됩니다. 이를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 DNA 복구 메커니즘의 불완전성 등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외부의 자극이나 대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활성 산소가 세포에 지속적으로 손상 주면서 노화가 가속화되며, 이로 인해 질병과 면역력 저하, 죽음에 이르게 됩니다.

  • 생물학적으로 완벽한 인간은 존재할 수 없습니다.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물은 세포가 분열하고 복제되는 과정에서 점차적으로 손상이 축적되며, 이로 인해 노화가 발생하고 결국 사망에 이르게 됩니다. 이러한 과정은 텔로미어의 소모, DNA 손상, 그리고 세포의 재생 능력 감소 등과 관련이 있습니다. 질병이나 손상을 완전히 피하고 노화를 멈출 수 있는 기술은 현재 존재하지 않으며, 이는 생명체의 복잡한 유전자와 세포 작용에 기인합니다. 과학기술과 의료기술이 계속 발전하면서 수명 연장과 질병 예방에 큰 진전을 이루고 있지만, 무한한 수명은 생물학적으로 매우 도전적인 문제입니다.

  • 먼저 모든 생명체는 필연적으로 죽음이 있고 이는 생명의 기본적인 속성이자,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또한 모든 생명체는 질병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질병은 진화의 원동력이기도 하며, 면역 체계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죠. 그리고 노화는 세포의 손상과 기능 저하가 누적되는 과정입니다. 이는 유전적 요인뿐만 아니라 환경적 요인에도 영향을 받습니다.

    말씀하시는 완벽이라는 개념에서 자연의 법칙을 거스르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물론 무한한 수명이나 질병 정복, 노화 지연 등이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어느정도의 성과를 보일 수도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생물학적으로 완벽한 인간은 현재의 과학 기술로는 불가능한 이상향입니다. 하지만 과학 기술의 발전은 인간의 수명을 연장하고 질병을 정복하는 것에 어느정도 가능성은 있지만 말씀하시는 완벽함은 어려운 것이 사실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이론적으로 가능하지만, 실제로는 어렵습니다. 현재 인간이 불멸이 될 수 없는 이유는 텔로미어의 길이를 연장하는 기술이 상용화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