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아주귀여운미냥
아주귀여운미냥

초승달은 지구 전지역에서 같은 모양으로 보이나요?

제목 그대로 달 중에 초승달을 어느 지역에서 보든지간에 같은 모양으로 보이는지 궁금합니다. 남반구와 북반구 간에 차이가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달 모양이 변하게되는것은 지구가 공전하기 때문입니다

      공전하는동안 태양과 달의 각도가 바뀌기 때문인데

      북반구와 남반구는 달의 모양이 반대인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 달 모양은 지구의 위치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보입니다.

      달은 실제로 빛을 내지 않고 태양에 의한 반사의 결과 입니다.

      즉, 지구에서 보는 방향에 따라 달의 모양이 다릅니다.

      예로, 남반구와 북반구에 따라 반대로 보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같은시간에 다른 지역에서 관측한다면 다른모양으로 보입니다.

      같은시간이란 개념을 혹시 모르고 계셔서 잘 모르시는것 같은데... 같은시간이란 개념은 지구상의 위치 어디에도 각각 다릅니다. 인간이 생각한다는 시간이란 무엇일까요? 태양을 기준으로 시간을 정했다는 생각은 안해보셨지요?? 태양이 기준입니다..^^; 이건 직접 그림으로 설명해드리는게 이해가 상당히 쉬운데.. 이거 말로 설명하자니 저도 힘들어 지네요..^^; 나중에 그림 덧붙여 드릴꼐요.. 한참뒤에 와서 보세요.그림덧붙여있으니깐^^;(지금은 시간상..~~) 자. 그럼 설명...

      각 점 A(한국), B (미국), C(영국)이라고 가정한다면, 이 A,B,C에서 태양이 뜨는 시각이 같을까요? 태양의 빛을 받는 지구표면의 반쪽부분은 낮이 되는것이고, 빛을 못받는 반쪽부분은 밤이 되는것입니다. 가령, 한국시간으로 생각한다면... 한국에서는 해가 7시에 떳다고 해봅시다. 그럼 영국에서는 과연 7시에 해가 뜰까요? 아니겠죠? 영국은 그 시각에 빛을 못받는 위치이기때문에 한밤중입니다. 따라서 달도 이 원리에 준거한다면, 달의 위상(삭, 망, 하현, 상현)이 각각 다르게 되지요. 참고로 달은 스스로 빛을 내는 천체가 아니고 태양에 반사되지만, 원리는 지구의 빛 받는 부분과 빛 받지 않는 부분의 원리와 같게 됩니다.

      뉴스나 신문에서, 다른지역(Ex.미국)의 사건을 말할때.... 한국시각(xx : yy)라고 하지요? 그것은 한국의 시간을 기준으로 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각 위치마다 시각은 다를 수 밖에 없게 되는것이지요. 이것은 우리 인간의 크기가 지구의 표면적에 비해 너무나 작기 때문에... 물리적요소에 대입해보면 "거리 = 시간 * 속도" 이므로, 우리 인간의 걸음으로 지구 한바퀴를 돌기란 너무 오래걸리기 때문에 시간이라는 개념이 확실히 드러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