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러스는 어떻게 몇만년이 지났는데도
얼마전 오래된 빙산에몇만전 바이러스가 발견되었다고
했는데 어떻게 그오랜시간 얼음속에서 살수가있었는지
궁금합니다.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바이러스가 수천 년 동안 얼음 속에서 생존할 수 있는 능력은 그들의 구조적 간단함과 복제 메커니즘에서 비롯됩니다. 이러한 능력은 극한 환경에서의 생존성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바이러스는 세포 외부에서도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습니다. 이는 그들이 숙주 세포가 없는 상태에서도 그 구조를 유지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얼음과 같은 극저온 환경에서는 바이러스의 메타볼리즘(대사 활동)과 복제 활동이 정지되어, 시간이 지나도 구조적 손상 없이 보존될 수 있습니다.
극저온은 바이러스가 화학적 및 물리적 변화 없이 장기간 동안 보존될 수 있는 조건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조건 하에서 바이러스의 단백질 구조와 유전적 물질은 활성 상태를 유지하지 않으면서도 손상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됩니다. 따라서 얼음 속에서 발견되는 고대 바이러스들은 그들이 고립된 환경에서 수천 년 동안 변화 없이 보존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얼음 코어에서 발견되는 고대 바이러스들은 과거 환경과 기후 변화에 대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합니다. 또한, 이러한 바이러스들은 현대 바이러스와의 유전적 비교를 통해 질병의 역사와 진화를 이해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바이러스의 복원력과 다양성을 깊이 있게 이해하며, 과거의 생태계 및 질병 역학에 대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연구는 또한 고대 바이러스의 잠재적 병원성과 관련하여 적절한 안전 조치와 윤리적 고려가 필요함을 상기시켜 줍니다.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온 전문가입니다.
오래된 바이러스가 빙산 속에서 발견된 이유는 빙산의 극한 환경이 바이러스의 생명력을 보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영하의 온도와 밀폐된 환경에서 바이러스는 생명활동을 하지 않지만, 휴면 상태로 오랜 시간 동안 생존할 수 있습니다. 얼음 속의 낮은 온도와 건조한 상태가 바이러스를 보존하는 데 도움을 주죠.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얼음 속은 극도로 낮은 온도와 안정된 환경을 유지하고 있어, 바이러스가 생명 활동을 거의 멈춘 상태로 보존될 수 있습니다.
얼음 속에 갇힌 바이러스는 주변 환경으로부터 수분과 일부 영양분을 흡수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며, 이를 통해 생존할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는 극도로 건조하고 추운 환경에서도 생존할 수 있도록 진화했습니다.
그래서 빙산 속에서 바이러스는 대사 활동을 최소화하고, 유전 물질을 보호하는 단백질 껍질로 자신을 감싸 생존하는 것입니다. 특히 빙산은 거대한 자연 냉동고 역할을 합니다. 빙산 속의 낮은 온도는 바이러스의 활동을 억제하고, 유전 물질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오랜 시간 동안 생존할 수 있는 환경이 된 것도 이유입니다.
바이러스는 얼음 속에서 오랜 시간 동안 살아있기보다는 비활성 상태로 존재합니다. 얼음 속의 극한 환경은 온도가 매우 낮고, 자외선 등으로부터 보호받아 바이러스가 분해되지 않고 보존될 수 있게 해줍니다. 바이러스는 스스로 생명활동을 하지 않기 때문에 영양분 없이도 오래 생존할 수 있으며, 조건이 적합해지면 다시 활성화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수만 년 동안 얼음 속에 갇혀 있다가도 다시 발견될 수 있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바이러스는 살아 있다고 할 수 없습니다. 극한 환경에 처하게 되면, 비활성화 되었다고 보는 게 맞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