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쾌활한멧새196
쾌활한멧새196

검정색 마스크를 끼고 벗었는데 보라색이 닦여져 나옵니다.

나이
29
성별
여성

제가 일하면서 검정색 마스크를 끼고 벗지않고 하루 8시간 정도 일을 합니다. 그런데 집에와서 마스크를 벗고 제 얼굴색을 확인했는데 얼굴색이 보라색이 었고, 혹시나해거 썼던 검정마스크를 물티슈로 닦아봤는데 보라색이 묻어져 나오네요.
첫번째, 혹시 이게 인체에 유해한 물질일까요?
두번째, 제가 마스크를 끼고 벗으면 코에 원래 블랙헤드가 없는데, 코에 그 작은 구멍에 블랙헤드처럼 까맣게 보이는데, 이걸 세수를 하면 그 까만게 사라집니다. 마스크 때문에 블랙헤드가 생기는 건가요?
세번째, 혹시 이 마스크를 껴서 불이 붙어 가연성이 있거나 그런거는 아니겠죠?
소중한 답변 부탁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검정색 마스크의 품질에 이상이 있는것 같습니다 염료가묻어나오는 것으로 보입니다

    블랙헤드는 마스크에서 묻어난 염료인것 같습니다

  • 첫째, 마스크에서 보라색 물질이 묻어나온 것은 마스크 염색에 사용된 염료 때문일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인체에 유해한 물질일 수 있으므로 해당 마스크 착용은 중단하시고, 구매처에 염료 성분과 안전성에 대해 문의해보시는 게 좋겠어요.

    둘째, 마스크 착용으로 인해 모공에 노폐물이 쌓여 블랙헤드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마스크 내부의 습한 환경이 피지 분비를 촉진시키고, 마스크에 묻은 염료나 먼지가 모공을 자극했을 수 있어요. 꼼꼼한 세안으로 관리 가능하지만, 마스크 소재를 순면 등 자연소재로 바꾸는 것도 도움될 거예요.

    셋째, 의료용 마스크는 불에 잘 타지 않도록 난연 처리된 경우가 많아요. 하지만 염료가 포함된 일반 마스크는 가연성 여부를 확신하기 어렵습니다. 담뱃불 등 화기에 주의하시고, 마스크 소재에 대해 제조사에 문의해보시는 게 안전할 것 같네요

    답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 조언으로 건강관리에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만약 그렇다면 추천 버튼을 눌러주시면 앞으로도 이런 건강 상담을 지속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일반적으로 마스크 제조 과정에서 사용되는 염료나 화학 물질은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 설계되지만, 저품질 마스크나 제조 과정의 문제가 있을 경우 피부에 자극을 주거나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습니다. 마스크를 장시간 착용하면 피부에 접촉하는 부분이 지속적으로 마찰을 일으켜 블랙헤드나 기타 피부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는 마스크 내에서 피부가 습해지거나 오염 물질이 축적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현상으로, 정기적으로 피부를 깨끗이 세척하고, 마스크를 자주 교체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일하시는 환경에 보라색 물질로 의심될만한 것들이 있나요? 아니면 마스크에서 묻어나오는것일수도 있구요. 후자라면 마스크를 바꾸시는게 좋을거같습니다. 블랙헤드는 피지를 말하고 마스크를 쓰면 아무래도 코 환경이 습해지고 온도도 올라가기 때문에 피지가 생기기 좋은 환경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 마스크에 있는 물질이 묻어 나온다면 정상적이지 않은 제품을 사용하시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마스크에 있는 색소 물질이 피부에 닿았을 때 모공이 있는 부위에 고여 있는 부분이 검게 보일 수 있습니다 이런 부분들은 세수를 하면서 없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마스크에서 떨어져 나온 물질이 호흡기를 통해 폐로 들어가게 된다면 매우 안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마스크에 색소가 있는 것 같습니다. 여러 색소가 합쳐져서 검게 보일 수 있습니다. 이 색소의 성분은 알 수가 없으므로 유해성분일지도 알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잘 만든 마스크라면 색소가 묻어 나오지는 않게해야 할 것이므로 다른 품질이 괜찮은 마스크를 착용하시길 권합니다. 색소라고해도 저절로 불이 붙지는 않을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