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심심한도마뱀164
심심한도마뱀164

라니냐가 무엇인지 궁금해요..

올해도 라니냐가 생길거라는 뉴스를 보았는데요. 3년내내 라니냐기 온것도 이례적인 일이라고 하더군요. 라니냐는 어떤 것이며 왜 발생하는 것인지 알고 싶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동태평양의 물 온도가 평년보다 0.5도시 이상 낮은 상태가 최소 5개월 이상 지속되는 것을 라니냐라고 합니다. 적도의 무역풍(동풍)이 강하게 불면 따뜻한 바닷물이 서태평양 쪽으로 쏠리고 동태평양에는 차가운 바닷물이 채워지기 때문에 라니냐 현상이 나타납니다.

      라니냐가 발생하면 동태평양 인근 지역인 북미는 한파, 남미지역은 심각한 건조와 가뭄에 시달리게 되고, 서태평양 지역의 호주,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의 지역은 폭염 또는 홍수 피해가 발생하게 됩니다. 라니냐가 발생한 해에는 강력한 태풍의 발생이 잦아지고, 곡물 생산량과 어획량에 큰 영향을 주어 식량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라니냐 현상은 2년 정도 지속되는데 더 길어지면 식량문제가 더 심각해질 우려가 있다고 합니다.

    • 라니냐는 엘니뇨와 완전히 반대되는 현상입니다.

      엘니뇨는 편동풍이 약할 때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원래 편동풍은 정상적으로 작용할 때, 적도 부근의 따뜻한 물이 서태평양 쪽으로 이동합니다.

      그래서 서태평양 물은 따뜻하고, 동태평양은 차갑습니다.

      하지만 엘니뇨는 편동풍이 충분히 강하지 않아 동태평양이 뜨겁고 서태평양이 차가워지는 현상입니다.

      라니냐는 편동풍이 매우 강할 때 발생합니다.

      즉, 서태평양은 더 뜨겁고, 동태평양은 더 차가운 것이 라니냐 입니다.

    • 안녕하세요. 강석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엘리뇨 현상과 반대되는 현상입니다. 정상적인 해류는 서태평양의 온수가 위로 동태평양의 냉수가 아래로 섞이지 않고 흘러야하는데 이부근의 무역풍이 강해져서 냉수대와 온수대가 서로 섞여 해수면 온도가 내려가는 것입니다.

      라니냐 현상이 생기면 우리나라의 겨울은 평년보다 춥다고하니 충분한 월동준비 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라니냐의 경우는 엘니뇨와 반대로 무역풍이 강화되면서 발생되는 현상으로 서태평양의 수온이 상승하고 동태평양의 수온이 하강하며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적도 부근 열대 태평양은 지구상에서 가장 많은 태양에너지가 유입되는 곳입니다. 평소 태평양의 서쪽은 해수면 온도는 상대적으로 높고 태평양의 동쪽은 낮은 해수면온도 분포를 보입니다. 엘리뇨가 나타나는 이유무역풍이 약화됨에 따라 평상시 바다 밑에서 올라오던 차가운 물이 상승하지 못하게 되어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차가운 물이 상승하지 못하여 태평양의 동쪽 해수면 온도가 평상시보다 높은 상태로 지속되는 현상이 바로 엘니뇨입니다.

    •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간단 상식으로 라니냐는 스페인어로 ‘여자아이’, 엘니뇨는 ‘남자아이’ 뜻

      라니냐는 적도 무역풍이 평년보다 강해지면서 서태평양의 해수면과 수온은 평년보다 상승하고 찬 해수의 용승현상 때문에 적도 동태평양에서 저수온 현상이 강화되어 생기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종성 과학전문가입니다. 라니냐는 해수온도가 낮아지면서 기온이 떨어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반대로 해수 온도 상승에 의해 기온이 올라가는 현상이 엘리뇨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