옜날 사람들은 하루의 시간을 어떻게 판단했나요?
옜날 사람들은 하루의 시간을 어떻게 판단했나요?
지금처럼 시계가 있던것은 아니었을텐데
해의 위치를 보고 판단하나요? 아니면 그냥 어두워지면 하루가 끝났구나
하고 생각하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조선시대에는 태양의 위치로 시간을 알았다고 합니다. 그 당시 시간은 지금처럼 0시부터 24시까지가 아닌 자시(23시~01시), 축시(01시~03시), 인시(03시~05시), 묘시(05시~07시) 이런식으로 표현을 했기때문에 해가 뜨고 해의 위치에 따라 지금 묘시쯤 되었네 진시쯤 되었구나 하고 생각하였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려요~ 행복한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옛날 사람들은 시간을 판단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가장 단순한 방법은 해와 달의 움직임을 관찰하는 것이었습니다. 태양의 움직임으로 일출, 일몰, 밤과 낮의 길이 등을 판단하고, 달의 위상으로 달력을 만들어 특정한 날짜를 지정하기도 했습니다.
또한, 어떤 일이나 행사를 예약하거나 행사를 시작하는 시간을 결정할 때는 특정한 자연적인 현상을 이용하기도 했습니다. 예를 들어, 오늘이 좋은 날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때는 구름, 바람, 벌레 등을 살펴보았습니다.
물론, 이러한 방법으로는 시간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으므로, 정확한 시간을 알아내는 것이 중요한 일이 되면 태양 시계나 물 시계 등을 사용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시계는 대부분 귀족층이나 성당 등에 소유했으며, 일반인들이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해시계와 물시계가 있는 곳은 해시계와 물시계를 보고 판단을 했고 배 시계를 많이 사용했다고 합니다. 배가 고프면 아침 점심 저녁. 그리고 농부들은 일하다 하늘의 해를 위치를 보고 판단 했구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