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삼겹살굽기
삼겹살굽기

우리나라의 대기업의 기준은 무엇인가요?

우리나라에서 대기업이라고 불리는 기업의 기준은 무엇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자산이나 매출액이 얼마나 크면 대기업으로 불리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에서의 대기업의 기준에 대한 내용입니다.

    한국에서 대기업으로 인정 받기 위해선

    기업의 자산총액의 합이 10조원이상인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서 대기업은 보통 자산총액 5조 원 이상이거나 연매출 1조 원 이상인 기업을 말합니다. 또한, 공정거래법에 의해 대기업집단으로 지정되면 다양한 규제를 받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공정거래위원회 기준으로 공시대상일 경우 자산총액 5조원이상, 상호출자제한 대상일 경우 10.4조원 이상일 경우에 대기업으로 분류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매년 4월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을 지정하여 대기업 집단을 간접적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2023년 기준으로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으로 지정되기 위한 자산 총액 기준은 10조 4천억원 이상입니다. 또한 공정거래위원회는 자산 총액의 5조원 이상인 기업집단을 공시대상기업집단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자산 총액이 5조원 이상인 기업을 대기업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대기업은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을 대기업으로 분류합니다.

    상호출자제한기업답단은 자산 총액 10.4조 원 이상으로 상호출자 금지, 채무보증 금지, 의결권 제한, 공시 의무의 규제를 받고 있으며 명목 국내총생산 GDP의 0.5%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대기업 기준은 공정거래위원회가 사용하는 대기업(집단)을 살펴보면, 독점규제법에 의해 지정된 자산총액이 5조 원 이상인 공시대상 기업집단과 10.4조 원 이상인 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을 의미한다고 표현되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대기업의 기준은 중소기업, 중견기업, 대기업이 자산총액이 5000억원 이상잉ㄹ 경우 보통 대기업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 우리나라에서 '대기업'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규모가 큰 기업을 의미하지만, 법적으로는 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의 대기업집단 지정 기준에 따라 정의됩니다.

    공정위는 매년 자산총액 5조 원 이상인 기업집단을 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대기업집단)으로 지정합니다.

    이들 기업은 공시 의무가 강화되고, 계열사 간 출자나 채무보증 등이 제한됩니다.

    또한, 자산총액이 10조 원 이상이면 공시대상기업집단이자 동시에 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으로 지정되어 더 강한 규제를 받습니다.

    매출액은 대기업 기준을 결정하는 직접적인 요소는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자산 5조 원 이상인 기업들은 연 매출이 수조 원에 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기업이 대기업으로 분류되려면 자산 5조 원 이상이 되어야 하며 공정위로부터 기업집단으로 지정도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