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즐거운가오리188
즐거운가오리188

경제학에서 불안전 자산으로 보는 것들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이번에 금리가 오르고 나니 주식부터 코인들까지 전부 폭락을 했는데

금리인상에 의해 폭락된 자산들은 불안전 자산으로 보는 것이 맞는 건가요?

현재 불안전자산으로 보는 것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보통은 불안전자산으로는 주식과 코인이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변동성이 그만큼 심하다는 것이지요.

      보통 안전자산으로는 국가에서 발행한 국채로 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불안전자산=위험자산

      경제학에서 보는 위험자산은 가격하락이나 가치손실이 크게 발생할 위험이 높다고 판단되는 금융자산입니다.

      서브프라임 모기지: 이들은 신용도가 취약하고 채무불이행 위험이 높다고 판단되는 대출자들을 대상으로 한 주택대출입니다. 2007~2008년 금융위기 때 많은 서브프라임 모기지가 증권에 묶여서 투자자들에게 팔렸고, 주택시장이 붕괴되면서 상당한 손실이 발생했습니다.

      레버리지 대출자산: 이들은 레버리지(지렛대)가 높거나 부채가 많은 기업에 대출한 것으로 채무불이행 위험이 더 높은 것으로 판단됩니다. 레버리지 대출은 일반적으로 인수합병 자금 조달에 사용되며, 위험도(채무불이행 가능성이) 높은 대출자에게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불안정한 자산으로 간주됩니다.

      하이일드 채권(High Yield - 고수익): 하이일드 채권은 채무불이행 위험이 더 높다고 판단되는 기업이 발행한 채권입니다. 일반적으로 투자자들에게 추가된 위험을 보상하기 위해 더 높은 이자율을 제공합니다.

      신흥시장 자산: 개발도상국의 기업이나 정부가 발행하는 주식, 채권, 통화 등 금융자산들은 예측 및 관리가 더 어려운 정치적, 경제적, 재정적 위험의 대상이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위험성이 높다고 간주됩니다.

      암호화폐: 암호화폐는 변동성이 크고 단기간에 가치가 크게 출렁일 수 있기 때문에 위험자산 중에 하나로 꼽힙니다.

      금리인상으로 인해 다양한 경제 자산들이 폭락했지만, 폭락한 자산들이 모두 다 위험자산으로 분류되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금리인상 = 시중 유통 통화 축소]로 인해 자산가치가 하락하게 되면, 고이율 대출을 받았거나 현금 창출 능력이 없는 기업, 그리고 버블이 많이 형성된 자산은 위험자산일 경우가 많습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대표적으로 주식, 채권, 부동산 등이 있으며, 이러한 자산들의 가격변동성 때문에 불안정하다고 봅니다.

    •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위험자산은 가치 변동의 위험이 큰 자산을 말하며 위험자산과 상반되는 개념이 안전자산이라 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위험자산으로는 주식을 들 수 있습니다. 주식에 투자했을 때 기업의 재무상태, 국내 경제상황 등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투자 기업의 가치가 상승하거나 하락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위험자산으로는 정크본드(* 고위험 채권), 주식 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