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대담한바다꿩14
대담한바다꿩1422.02.09

이건 협심증 의심해봐야 될까요?

나이
18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협심증,부정맥,고혈압치료제,위염치료제
기저질환
없음

6일전쯤에 병원에 방문해서 심전도 검사와 피 검사, 심장 초음파 검사까지 하고 약을 복용하다가 조금 낫는거 같다 싶으면 약을 줄여보라고 해서 오늘은 약을 복용하지 않은 상태입니다. 몇분전에 1분미만 길이의 왼쪽 가슴 통증이 있고 오른쪽 가슴에도 약간의 통증이 있었습니다. 요즘 스트레스를 너무 받고 있기는 한데 이게 문제일까요 아니면 협심증쪽으로 의심을 해봐야하는걸까요…? 추가로 목 뒷부분이 조금 당기는듯한 그런 증상이 있습니다. 소화도 잘 안된거 같고요 빠른 답변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호진 의사입니다.

    협심증이 나타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흡연, 고지혈증, 고혈압등이 위험 인자입니다.

    그 외 비만, 운동부족, 스트레스등이 가능한 위험 인자로 거론되고 있습니다.

    일단 협심증이 오면 다음의 현상들이 나타나게 됩니다.

    무거운 돌로 가슴을 누르는 것 같고, 심장이 조이는 것 같습니다.

    운동 중일 때, 무거운 물건을 들었을 때, 극심한 스트레스를받았을 때,

    부부관계를 할 때, 심장근육이 빨리 뛸 때 잘 생깁니다.

    치료법

    동맥경화증 위험요소를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생활습관 치료가 첫 번째입니다.

    절대적인 금연 기름진 음식을 피하고

    고혈압 당뇨병은 약물이나 운동으로 반드시 조절해야 합니다.

    두 번째가 병원에서 처방해 주는 항협심증 약물입니다.

    니트로글리세린 알약이나 스프레이제제를 반드시 휴대해야 합니다.

    좁아진 관상동맥 부위를 풍선으로 확장시킨뒤 그물망을 삽입하는 스텐트 시술이 있고,

    풍선확장술이 어려운 환자에게는 대동맥과 관상동맥을 이어주는 관상동맥 우회술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기존에 협심증을 진단 받은 후 처방받은 약을 복용하지 않고 발생한 증상이라면 조절되지 않는 협심증의 증상으로 보는 것이 맞아보입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선천성 고지혈증이 있는 경우에는 젊은 나이에도 협심증이 발생할 수 있으나 현재 나이에서

    협심증 발생하는 것은 드물다고 생각합니다. 통증이 현재도 지속되는 경우는 심근 경색에

    해당하며 이는 검사에서 나오지 않을 수 없어 협심증 보다는 늑연골염 등 스트레스로 인한

    가슴 통증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증상은 있으나 검사에서 정상일 때 흔하게 진단되는 질병으로 통증 시 소염진통제를

    복용하나 그 외 특이 치료 없이 호전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감사합니다.


  • 말씀하시는 증상으로 협심증을 의심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특히 이미 혈액, 초음파, 심전도 등의 검사까지 받고 이상이 없음을 확인한 상태라면 걱정할 이유가 없습니다. 심리적 원인이 더 커보입니다.


  • 가슴통증은 크게 심장관련 통증 (심인성 통증)과 비심인성 통증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심인성 통증은 흔히 운동시나 정신적 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되며 흉골 하부에 뻐근하거나 무거운 것이 누르는 듯한 양상의 통증이 특징적입니다. 혈관 확장제 (설하 니트로글리세린) 복용 후 증상이 호전되는 것도 심인성 통증을 시사합니다.

    비심인성 통증은 근골격계 원인 (늑관절염 등)과 위장관계 (역류성 식도염, 위궤양 등)이 흔하며 드물게 혈관이상, 폐색전증 등에 의한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과도한 신체적 활동 이후 통증이 발생하거나 특정 부위를 눌렀을 때 통증이 있는 경우 그리고 따끔따끔하거나 찌릿한 양상의 통증의 경우 근골격계 원인에 의한 통증 가능성이 가장 높습니다.

    다만, 진통소염제를 복용하거나 충분한 휴식 이후에도 증상이 지속되거나 심인성 통증을 시사하는 증상이 발생하는 경우, 통증의 강도나 빈도, 지속시간이 변화하는 경우 심장 관련 통증이거나 급히 치료를 요하는 통증일 수 있어 진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윤 소아과의사입니다.

    정확하게 상태를 모르기에 말씀드리기는 어렵습니다.

    다만, 단순히 가슴통증이 이싿고 협심증 은 아닙니다.

    증상이 있을때 병의원 내원하여 진료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