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블레쏘153
블레쏘153

부동산 투자에 대한 전반적인 정의와 개요를 간략히 설명해 주세요

부동산투자의 정의와 영역들을 소가해 주시고 향후 투자 전망을 현시세를 기준으로 투자가치와 잠재적 수익에 대한 기대거 높은 것을 소개해 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인간은 부동산 자산을 축적해 ‘부(wealth)’를 증식하려 한다. 부동산 자산의 축적은 부동산 투자로 가능하다. 부동산 투자는 ‘부동산 물건 및 관련 유가증권 등에 금전을 투입해 수익이나 이익을 얻고자 하는 일련의 부동산 경제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부동산 ‘투자(investment)’는 ‘투기(speculation)’와 구별된다. 투자의 주체는 실수요자인 반면 투기는 가수요자에 의해 이루어진다. 실수요자에 의한 투자가 이용과 보유에 따른 정당한 기대이익을 바란다면, 가수요자에 의한 투기는 이용보다는 보유를 통한 양도 차익을 목적으로 한다는 점이 다르다. 투자는 시장가격을 따르고 투기는 투기하려는 가격에 따라 결정된다. 투자는 부동산의 이용 또는 관리 의사가 있는 반면 투기는 양도 차익을 목적으로 한다는 점에서 이용 또는 관리 의사가 없다고 봐야 한다. 투자가 장기 보유를 통한 이득을 취하는 반면, 투기는 이용 과정 없는 단기 보유를 통해 양도 차익을 취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부동산 투자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투자 수익은 보유 부동산 자산을 팔아서 얻을 수 있는 양도 차익으로서 자본이득(capital gain)과 전세나 월세를 놓아 얻을 수 있는 운용 수익(income gain) 두 가지다.

      고성장 시대, 개발 시대에는 부동산을 보유하고 있다가 되팔아 얻는 자본이득(capital gain)을 취하기 위한 부동산 투자가 일반적이다. 반면에 부동산 가격이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시장에서는 운용 수익으로서 임대 수익을 얻기 위한 부동산 투자가 일반적이다. 전세 가격의 상승으로 전세 물건이 부족한 상황에서 주택 임대 시장이 빠르게 월세화되는 현상은 현재의 시장이 저금리 시장이라는 것과 세계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져 저성장이 이어질 것이란 현재의 시장 상황이 반영된 결과다.

      부동산 투자는 단순히 수익을 내는 다른 투자 상품과 다르다. 우선 가격이 비싸고, 투자자의 거주지를 겸하는 경우가 많아 한 번 선택하면 바꾸는 것이 쉽지 않아 투자 주기가 긴 편이다. 주거지 선택에는 교육과 직장 등 다양한 이유가 고려되기 때문이다. 그렇게 선택한 주택으로서의 부동산은 거주 또는 보유 기간에 따라 가격의 상승으로 이익을 볼 수도, 가격 하락으로 손해를 볼 수도 있다.

      경제적 재화라는 관점에서 주택은 부동산이다. 하지만 주택은 그렇게 간단하게 정의될 수 없다. 집은 단독주택이든 아파트든 간에 가족이 모여 살고 성장하는 곳이다. 동네가 있고 골목이 있고 길이 있다. 그래서 집들의 집합은 사회이고 그 속에 정치도 있다. 사람들은 그곳, 집에서 살며 생각하고 사회를 읽고 정치를 논한다. 집에서 삶을 짓고 또 다른 주택을 짓는다. ‘내 집’을 짓는 사람도 있고, ‘다른 사람들이 살 집’을 짓는 사람도 있다.

      호모 프라이디오룸은 부동산을 투자 개념으로만 생각하는 호모 에코노미쿠스로서의 ‘경제적 인간’을 의미하지 않는다. 그렇다고 집을 ‘삶을 담는 그릇’으로만 인식하는, 즉 철학적으로만 생각하는 호모 필로소피쿠스(Homo Philosophicus)를 강조하자는 것도 아니다. 종(種)으로서 인간은 이미 ‘슬기로운 사람(호모사피엔스)’이다. 따라서 주택을 ‘집’이라 부르고 그 안에 살면서, 읽고 생각하고 집을 짓는 인간으로, 떼려야 뗄 수 없는 부동산과 인간 간의 관계 차원에서 인간을 조명한다. 부동산과 인간, 인간과 부동산도 아니고 부동산의 인간, 인간의 부동산은 더욱 아니다. 부동산 안의 인간, 인간 속 부동산 그 관계를 통한 ‘부동산 인간(호모 프라이디오룸, Homo Praediorum)’을 의미한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질문의 내용은 본인이 부동산 투자에 대해 공부를 진행하시고 판단하셔야 하는 부분입니다. 같은 목적물이라도 투자방법이나 수익방향에 따라 기대치가 다르고, 투자목적에 따른 목적물 선택에도 차이가 있기 때문입니다.

      보통 부동산 투자수익은 임대수익, 가치상승에 대한 수익에 따라 목적물 선택이 달라질수 있고, 임대수익의 경우 월세를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월세 수요가 많은 원룸, 상가등에 투자를 고려하게 되고, 가치상승에 대한 투자는 향후 가치상승이 가능하고 전세수요가 가능한 아파트등을 대상으로 선정하게 됩니다. 그리고 부동산 투자도 갭투자, 경매투자, 토지투자등 다양한 투자방식이 있는 만큼 본인의 목표와 계획에 맞는 기준설정이 우선되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