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의 예금 적금 금리는 같은은행이라도
은행의 예금 적금. 금리는 같은 은행이라도 각지점마다
금리가 다 틀릴수가있는건가요? 고객센터에서 안내받고
지점을 방문했는데 왜 안내받은 금리와 차이가 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은행의 예금 및 적금 금리는 같은 은행이라도 지점별로 다를 수 있습니다. 각 지점은 고객 유치를 위해 자체적인 영업 전략을 펼 수 있습니다. 특정 지점에서만 특별 금리 상품을 판매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지점별로 특정 예금 또는 적금 상품을 집중적으로 홍보할 수 있습니다. 지역 경제 상황에 따라 예금 및 적금 금리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해당 지역에 경쟁 은행이 많을 경우 금리 경쟁이 발생하여 금리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예금 및 적금 상품 종류에 따라 금리가 다릅니다. 특정 조건을 충족하는 고객에게 우대 금리를 제공하는 상품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같은 은행이라도 각 지점마다 금리가 다를 수 있습니다.
은행 지점마다 내부 기준이 있을 수 있습니다. 프로모션, 자금 조달 상황 등에 따라 금리가 일부 조정될 수 있으며 고객센터에서 말하는 것은 일반적인 기준 금리이기 때문에 실제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차이가 있습니다. 왜냐하면 은행의 경우 각 지점마다 지역별 소득수준과 수요를 파악하여 그 특색에 맞게 대출상품을 만들어야 잘 팔리기 때문입니다.
은행도 사기업이며 그저 일반 기업처럼 수익을 목표로 하는 기업이기 때문에 각기 다르게 전략을 구사하여 상품을 만들고 파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동일한 상품엔 동일한 금리가 적용됩니다.
만약 적용되는 금리가 달랐다면 상품이 달랐거나, 우대금리가 실제로 적용된 것이 달랐을 수 있습니다.
고객센터에서 기본금리 외에 어떤 우대금리를 알려줬는지 모르겠지만,
실제로 지점에서 확인해보았을 때, 적용이 가능한 우대금리가 다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에 이런 부분들을 다시 확인해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만약 새마을금고나 신협 같은 곳을 이용하셨다면 이런 곳들은
조합 별로 다른 금리를 적용하기도 하기 때문에 차이가 있을 수 있기도 합니다.
은행의 예금, 적금 금리는 같은 은행이라도 다를 수 있습니다. 큰 틀에서는 중앙에서 통제하지만, 지점별로 각기 다른 마케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지점별로 상이할 수 있지만 시중은행의 경우 특별하게 지점에 특판이 아닌 이상
모두 동일할 수 있고 오히려 비대면으로 가입하는 상품의 금리가 좋은편입니다
따라서 굳이 지점에 방문하여 가입하기 보다는 비대면 앱을 통해서 상품을 가입하는
방법을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은행의 예금, 적금 금리는 같은 은행이라도 다를 수 있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고객에 따라서 약간 차이가 날 수는 있겠지만
거의 대부분 같은 금리로 개설하게 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은행의 예금 적금 금리는 각 은행별로 어떤식으로 운용하는지와 상품마다 다를수밖에 없습니다. 각 은행별 수익성이나 자금력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고객센터에서는 일반적인 이자율을 안내받을수밖에 없으며 본인에게 적용될 확정 이자를 알려면 은행에 방문하여 여러 평가 및 추가 적용 가능 이자율 등을 검증 받아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은행은 기준금리가 되는 코픽스나 금융채5년물금리이외에도 추가 가산금리가 적용됩니다. 이 추가 가산금리 때문에 지점마다 금리가 다르게 적용됩니다.
즉 은행이 고객에게 특정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유도하거나, 은행 본부나 지점장이 정한 금리인 우대금리를 다르게 적용하기 때문에 각지점마다 실적이라든지 지점장 자체의 권리라든지 이런 추가 가산금리가 적용되기 때문에 예금이나 대출금리가 다르게 적용되는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1금융권의 경우엔 지점이 달라도 같은 상품을 취급하기 때문에 금리가 같지만, 2금융권은 지점마다 각기 독립적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금리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