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 공부시키는데 영어나 수학은 보통 몇살까지 케어들 하시나요?
안녕하세요. 요즘 자녀들을 보면 방과후 수업등 정말 많은 방대한 양을 가르키곤 합니다. 혹시 부모입장에서 자녀 공부는 몇살까지 집적 가르키시나요?
안녕하세요. 송신애 유치원 교사입니다.
자녀의 학습을 직접 가르치는 시기가 정해져 있지는 않습니다.
대부분 취학전부터 사교육을 의지하는게 보통이긴 합니다.
부모님의 교수법에 따라 다를 수 있겠으나 보통 아이의 학습을 지도할 때 갈등이 생길 수 밖에 없습니다.
아이와 갈등이 생기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라면 타 기관의 도움을 받는 것도 나쁘지 않아 보입니다.
우리 주위에서 다문화 아이들이 손쉽게 이중언어를 구사하는 것을 생각하면 이해가 쉽겠습니다.
배우고자 하는 언어를 일상생활에서 꾸준히 노출시켜주면 효과가 클 것입니다.
영어 같은 경우도 놀이 시간에 영어 동요를 들려주고,
애니메이션을 보는 경우에는 언어를 영어로 설정해서 보여주면 영어를 익히는데 도움이 된답니다.
지인의 아이들을 옆에서 본 결과 4,5세 때부터 꾸준히 영어에 노출시킨 결과 확실히 듣는 귀가 트이더라고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부모님의 입장에서는 아이들을 초등학교 1~2학년때까지는 시키는것 같습니다 초등학교3학년부터는 학원과 개인 과외 선생님을 통해 배우는게 더 효과적입니다~~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
부모가 자녀를 가르치기란 쉬운일이 아니라고 봅니다. 더구나 영어는 전문적인 학원에서 체계적으로 배우는 것이 좋으며 수학은 저학년정도까지는 가능하다고 봅니다. 고학년이 되면 난위도도 어려워지지만 사춘기가 시작되면서 아이하고의 갈등이 있을수 있기 때문에 고학년때는 수학또한 스스로 알아서 잘 하지 않는한 전문적으로 가르치는 학원으로 보내는 것이 좋다고 봅니다.
안녕하세요. 황석제 보육교사입니다.
이는가정의 환경에따라다름
1.부모의 학업능력이 괜찮다면중고등도가능
2.보편적으로중학저학년까지하는경우가 많음
참고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기본적으로 부모님은 선생님이 아니다 보니 아이들을 가르치다 보면
선생님과 제자 사이에서 이루어 져야 할 수업 분위기나 태도가 잘 되지 않기
때문에 수업 하는데 힘이 들지요
보통은 미취학 아이나 가르칠 수 있고 초등 학교 1~2학년이 넘어 가면
가르치기가 쉽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부모님의 직장 여부나 학원 여부에 따라서 다를 텐데요
주위에 아이 친구들 기준으로 봤을 때 초등학교 전까지 한글 과 수학 덧셈/뺄셈 정도는 집에서 학습 해주시고
초등학교 입학 이후로는 학원을 보내 더라구요
그때 그때 다른 거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공부의 경우에는 보통 아이들의 초등학교 저학년 또는 부모님이 좀 더 노력을 하시면 고학년까지도 가능하다고 합니다.이는 부모님께서 직접 가르쳐 주시면서 돈을 아낄 수 있고 아이들의 발달 상태를 더 잘 지켜볼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아이들에게 핵심을 알려주는것은 전문가 보다는 못할수 있습니다만 요즘에는 인강이 잘 나오기 떄문에 이를 잘 활용해주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보통 초등학교 저학년, 중학년까지는 부모님의 지도가 가능하고 어느 정도 도움이 될 수 있지만, 그 이후에는 내용이 어려워지고 전문적인 지도가 도움이 되는 시기이므로 이후에는 스스로 학습할 수 있도록 전환해 주시는 게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들이 스스로 공부하는것은 저마다 다르고 각자 그 시기가 다릅니다. 수학과목은 아이들 학습이 커버가능한 학년은 보통 초등학교까지는 가능합니다.
다만, 영어는 부모님들께서 전문적이시지 못하다면 사교육을 하는것이 훨씬 더 효율적일 수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