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건강상담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건강상담
PB.지후
PB.지후22.03.14

책상의자 모서리랑 식탁의자에 부딪친 부위가 아직도 아픕니다

나이
42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지르텍
기저질환
콜린성두드러기,갑상선결절

하루는 앉았다 일어서다가 사무실 책상의자 핸들(쇠로된부분)에 무릎으로 찧었어요.

이루말할수없는 순간적으로 통증으로 발광하다가

조금 있음 괜찮아지겠지. 하고 신경안 쓰고있었는데

부딪친 부위가 한달이 넘었는데 아직도 콕콕 쑤시네요.

그리고 한부위는 4번째 발가락인데 일어나서 돌다가 빡! 부딪쳤는데 발가락 깨지는 고통에 정신이 혼미해질 정도였고 그날 발가락에 힘이 안들어가고 붓는것 같아서 파스 발랐어요. 이것도 일주일정도 되어가는데 둘다 통증이 가라앉긴 커녕 계속 아픈데 병원가서 엑스레이찍어봐야 하나요?

평소에도 가끔씩 모서리에 부딪쳐서 끄악! 하고 말았는데 두곳은 통증이 왜 지속될까요.ㅠㅠ

부러졌거나 금이 갔으려나요......

이렇게 부러지는 일도 있나요? 아예 못쓰는건 아니고 그냥 아픈정도이긴한데 여러날이 지나도 아픈건 여전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강이 뼈가 부러졌다면 거동 자체가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정강이 뼈는 두가지가 있지만 주 뼈인 Tibia bone 이 부러졌다면 현재 거동이 불가능

    하지만 부 뼈인 Fibular bone Fx 의 경우는 거동이 가능하나 지속적으로 통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 발가락은 생각보다 골절이 잘 되는 뼈이기 때문에 Foot AP 등

    X-ray 로도 쉽게 구분이 가능하기 때문에 정형외과 진료를 받아보시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증상이 1달까지 지속된다면 골절을 의심해 보아야 합니다.

    가까운 정형외과에서 X-ray 등의 치료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일반적인 타박상은 시간이 지나면 붓기가 가라앉고 통증도 호전되는 것이 정상입니다. 하지만 통증이 지속적으로 있다면 골절의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습니다. 병원에서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지속적인 통증은 골절을 의심해보아야 합니다.

    보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 가까운 의원 혹은 병원 내원하셔서 전문의의 문진, 신체진찰 및 추가 영상학적 정밀검사를 해보시길 권유드립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3.15

    안녕하세요. 안중구 소아과의사입니다.

    골절로 인한 부종과 통증은 일반적으로 일상생활이 어렵습니다. 다만 해당 부위의 손상 평가를 위해 정형외과 진료를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물리치료가 도움이될 수 있습니다.


  • 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시는 증상은 비특이적이기 때문에 특정한 원인이나 질병을 의심하기에 무리가 있습니다. 하지만 증상이 있는 만큼 관련하여 정밀 검사를 받고 정확한 상태 파악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정형외과 진료를 보시고 필요한 검사 및 결과에 따른 치료를 받으시길 권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

    통증이 한달이 지날 정도로 지속되고, 발가락 역시 일주일이 지나도 통증이 있다면 정형외과에 내원하여 적절한 신체검사 및 영상검사를 시행해 보는 것이 좋다고 생각됩니다. 증상만으로 골절을 확인할 수는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무릎의 경우 한달이 넘었는데도 통증이 있다면 미세 골절의 가능성도 배제할수 없습니다. 발가락의 경우에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았다면 골절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꼭 엑스레이 촬영이 가능한 정형외과, 신경외과, 통증의학과에서 진료를 보시고 치료를 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통증이 지속된다면 X-ray는 확인을 해보시는 것이 좋지요. 아마 무릎은 특별한 이상은 없을 것으로 생각되고 발가락은 혹시 골절이 동반되어 있을 수 있다 예상됩니다. 물론 골절 여부는 증상으로만 확인은 어려워서 X-ray가 필요하니 정형외과에 한 번 가보시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