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이나 호수, 바다에 플랑크톤 개체수가 증가하는데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강이나 호수, 바다에 사는 생산자에 해당하는 플랑크톤 개체수가 증가하는데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플랑크톤'이란 수중생물을 생태적으로 구분한 한 무리로서 부유생물이라고도 하는데요, 스스로 운동능력이 전혀 없거나 또는 아주 약하고 수동적으로 행동하는 생물을 가리키며, 식물플랑크톤과 동물플랑크톤으로 크게 나뉩니다. 우선 수온이 오르면 식물성 플랑크톤과 동물성 플랑크톤 모두 번식 조건이 좋아져 많은 해역에서 생물 다양성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규산염, 인산염, 질산염 등 식물성 플랑크톤이 번식하는 데 영향을 주는 영양염류가 증가할 경우 식물성 플랑크톤이 증가하고, 이를 잡아먹는 동물성 플랑크톤의 수 역시 증가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플랑크톤은 영양소를 필요로 하며, 적정한 양의 질소, 인, 철 등의 영양소가 공급되면 플랑크톤의 개체수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광합성을 통해 생존하는 플랑크톤은 적절한 빛이 필요합니다. 적절한 빛 조건이 제공되면 플랑크톤의 생장이 촉진될 수 있습니다.
다른 생물들의 생태학적 변화나 군집 내 상호작용 등도 플랑크톤 개체수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질소, 인 등의 영양염이 풍부해지면 플랑크톤의 성장과 번식이 촉진됩니다. 이는 농업 유출수나 하수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 수온이 상승하면 플랑크톤의 생장 속도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특히, 따뜻한 계절에 플랑크톤의 개체수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바다에서 생산자에 해당하는 플랑크톤은 식물 플랑크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강, 호수, 바다의 식물 플랑크톤이 증가하는 주된 원인은 플랑크톤의 먹이가 되는 영양염류 농도와 수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둘 중에서는 영양염류가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영양염류 없이 수온만 높아졌을 때는 플랑크톤의 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지 않습니다.
영양염류가 많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수온이 높아지면 식물플랑크톤의 수가 늘어나고, 녹조현상이나 적조현상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강, 호수, 바다에서 플랑크톤 개체수가 증가하는 현상은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합니다.
하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큰 원인은 영양염류 유입 증가 때문입니다.
특히 농업 활동에 사용되는 비료와 퇴비 등에 포함된 질소와 인과 같은 영양염류가 강우에 의해 하천으로 유입되어 호수나 바다로 하고, 가정에서 배출되는 생활 하수에도 많은 양의 유기물과 영양염류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게다가 축산 폐수와 산업 폐수에도 다양한 화학 물질과 함께 영양염류가 포함되어 있죠.
또 다른 원인은 수온 상승입니다. 즉, 수온이 상승하면 플랑크톤의 성장 속도가 빨라지고 번식이 활발해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햇빛이나 수체의 안정성, 수층의 분리 역시 플랑크톤의 개체수 증가에 영향을 주는 요소입니다.
플랑크톤 개체수 증가는 주로 영양염류의 증가, 수온 상승, 햇빛의 양, 물의 흐름 변화 등에 영향을 받습니다. 영양염류는 비료나 생활하수 등에서 유입되어 플랑크톤의 성장을 촉진하며, 수온이 높아지면 플랑크톤의 증식 속도가 빨라집니다. 또한, 햇빛이 많을수록 광합성이 활발해져 플랑크톤이 더 잘 자라고, 물의 흐름이 느리면 플랑크톤이 물에 더 오래 머물 수 있어 개체수가 증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