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세포 내 단백질 분해 과정에서 유비퀴틴 시스템의 선택성에 대해 알려주실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단백질 분해 시스템에 대해 알아보다가 궁금한 점이 생겼는데요 유비퀴틴-프로테아좀 시스템이 어떻게 특정 단백질만을 선택적으로 분해하는지 이해가 잘 안 되네요

제가 알기로는 E1 E2 E3 효소들이 순차적으로 작용해서 단백질에 유비퀴틴을 부착한다는 건 알겠는데 그런데 이 과정에서 어떻게 분해가 필요한 단백질만 정확하게 인식하는 걸까요

특히 E3 리가아제가 기질 단백질을 인식하는 구체적인 메커니즘이 궁금합니다 혹시 단백질의 특정 아미노산 서열을 인식하는 건가요 아니면 단백질의 구조적 특징을 인식하는 건가요

그리고 세포 내에서 정상적인 단백질이 실수로 분해되는 일은 없나요 이런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추가적인 조절 기작이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전상훈 박사
    전상훈 박사
    을지대학교

    안녕하세요.

    유비퀴틴-프로테아좀 시스템은 세포 내에서 단백질을 선택적으로 분해하는 매우 정교한 기전입니다. 이 시스템은 단백질의 수명 주기를 조절하며, 세포의 다양한 생리적 반응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유비퀴틴화 과정에서의 선택성은 주로 E3 리가아제(ubiquitin ligase)에 의해 결정됩니다. E3 리가아제는 유비퀴틴화 과정에서 특정 단백질 기질을 인식하고 선택하는 핵심 요소로 작용합니다. 이 효소는 특정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이나 주조적 특성을 인식하여 그 단백질에 유비퀴틴을 부착시킵니다. 이 과정은 유비퀴틴을 활성화시키고 E2 효소에 전달하는 E1(활성화 효소), 유비퀴틴을 받아 E3 효소와 함께 작동하는 E2(결합 효소), 특정 단백질 기질을 인식하고 유비퀴틴을 그 기질에 전달하여 연결시키는 E3(리가아제)의 세가지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E3 리가아제는 주로 단백질의 특정 아미노산 서열 또는 구조적 모티프를 인식합니다. 파쇄된 단백질 또는 기능이 손상된 단백질은 종종 변형된 구조를 가지며, 이는 E3 리가아제에 의해 인식될 수 있습니다. 또한, 특정 신호 펩타이드나 탈인산화 상태 등도 E3 리가아제의 기질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세포는 실수로 정상 단백질이 분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여러 조절 과정을 갖추고 있습니다. 단백질의 유비퀴틴화는 종종 역전될 수 있는 가역적 과정입니다. 유비퀴틴 분해 효소(deubiquitinating enzymes ; DUBs)는 유비퀴틴이 부착된 단백질에서 유비퀴틴을 제거하여 분해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이는 세포가 오류를 수정하고 정상 단백질의 기능을 유지하는데 중요합니다.

  • 유비퀴틴-프로테아좀 시스템의 선택성은 주로 E3 리가아제의 기질 인식 능력에 의해 결정되며, 이는 단백질의 특정 아미노산 서열(분해 신호, degron)이나 구조적 특징을 인식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예를 들어, N말단 규칙은 특정 N말단 잔기가 단백질의 분해를 유도하는 신호로 작용하며, 변형된 단백질 구조나 손상된 부위도 E3 리가아제의 표적이 됩니다. 또한, 번역 후 변형(예: 인산화)이 E3 리가아제의 인식을 강화합니다.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세포는 정확한 E3-기질 상호작용, 유비퀴틴 가수분해 효소(DUBs)에 의한 탈유비퀴틴화, 그리고 프로테아좀 단계에서의 추가 확인을 통해 정상 단백질의 실수 분해를 최소화하며 단백질 항상성을 유지합니다.

  • 세포 내 단백질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그 수명 또한 매우 다양합니다. 세포는 이러한 단백질들의 양을 정확하게 조절하여 항상성을 유지해야 하는데, 이때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유비퀴틴 시스템입니다.

    유비퀴틴은 작은 단백질로, 다른 단백질에 붙어 표지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유비퀴틴이 붙은 단백질은 프로테아좀이라는 거대한 단백질 분해 효소 복합체에 의해 분해됩니다.

    하지만, 유비퀴틴 시스템이 단순히 모든 단백질에 유비퀴틴을 붙여 분해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단백질을 선택적으로 분해하는데, 이는 바로 유비퀴틴화 과정 때문입니다.

    유비퀴틴화 과정은 크게 세 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활성화단계에서 유비퀴틴 활성화 효소(E1)가 ATP를 이용하여 유비퀴틴을 활성화시킵니다. 그리고 공액단계에서는 활성화된 유비퀴틴이 유비퀴틴 결합 효소(E2)로 전달됩니다. 마지막으로 E2에 결합된 유비퀴틴이 유비퀴틴 연결 효소(E3)에 의해 특정 기질 단백질의 라이신 잔기에 전달됩니다.

    그 중에서도 E3 유비퀴틴 연결 효소는 유비퀴틴 시스템의 핵심입니다. 수백 종류의 E3 효소가 존재하며, 각각 특정 기질 단백질을 인식하여 유비퀴틴을 부착시킵니다. 즉, E3 효소의 종류에 따라 분해될 단백질이 결정되는 것입니다.

    유비퀴틴 시스템의 선택성은 세포의 생존과 기능에 필수적입니다.

    필요 없는 단백질만을 선택적으로 분해하여 세포 내 환경을 유지하며 세포주기 진행에 필요한 단백질의 양을 조절하여 세포 분열을 조절하고 신호 전달에 관여하는 단백질의 양을 조절하여 세포 반응을 조절하며 DNA 손상이 발생하면 손상된 단백질을 제거하여 DNA 복구를 촉진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