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남양주불주먹
남양주불주먹22.11.28

3살아이가 잘못된 행동을 할때 훈육하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3살아이가 요즘 떼를 엄청쓰고 울고불고 너무 그러는데

훈육하는 방법이나 개선하는 방법좀 알려주세요

너무 힘들어서 여쭈어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1.28

    안녕하세요. 이정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3살 이 시기 우리 아이는 자기중심적 사고, 즉 자신을 중심으로주변 환경, 사람을 바라보고 생각하게 됩니다. 자기주장과 고집이 세지는 것은 자아가 잘 형성되어 가고 있다는 뜻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내가 과연 지금 아이를 잘키우고 있는 건가?' 고민이 시작되지요. 아이의 고집적인 행동은 나쁜 행동이 아니라 발달 특성에서 보이는 자연스러운 모습이랍니다. 이러한 아이의 발달 특성을 이해해야 아이에게 효과적인 훈육을 할 수 있답니다.

    아직 언어 기능이 잘 발달하지 못한 이 무렵 아이들에게는 "우리 이쪽 계단 근처에서 놀면 넘어질 수도 있고 위험하니까 저쪽에 가서 노는게 어떨까?"라는 이야기보다는 "계단 근처에서 놀지 말자"라고 간단하게 이야기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우리도 외국에 놀러 가서 외국인들이긴 문장으로 친절하게 이야기하는 것보다는 핵심 단어로 짧게 이야기하는 것이 잘 이해가 되듯이 말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3세가 되면 아이가 어느정도 자기주장이 생기기 마련입니다

    이럴땐 힘들더라도 단호함을 보여주는것이 좋습니다

    안되는것에 대해서 안된다고 지속적이고 일괄적으로 이야기해주는것이 좋으며

    이시기는 힘든시기일수있기에

    배우자분과 양육을 분담하면서 해주시는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훈육 방법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먼저 아이의 마음을 읽어 주세요. 예를 들어, 상황을 가정해 보겠습니다.

    '친구들이 장난감을 빼앗아서 속상했어?'

    그리고 나중에 아이의 마음이 진정되었을 때 '그렇게 떼 쓰면 안 되는 것이다.' 알려 주세요.

    여기서 주의해야 할 것은, '그건 나쁜 행동이야, 넌 나쁜 아이야.' 라는 말은 절대 아닙니다.

    너무 단호한 태도와 어투로 말하지는 말아 주시고, 차근히 알려준다는 인상을 받게 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일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를 다그치시면 안 됩니다. 아이를 훈육할 때는 흥분하지 말고

    차분하고 단호한 어조로 가르치셔야 합니다.

    함께 흥분하면 아이가 당장에는 울음을 그치거나 말을 들을 수 있겠지만

    정서적으로도 좋지 않고 나중에는 내성이 생겨 말을 더 듣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3세 아이를 훈육하는 좋은 방법은

    훈육시에 태도가 변하지 않는 것입니다

    언제는 웃어넘기고 언제는 혼내고 하면

    훈육이 잘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훈육시에 단호하고 일관된 태도를 보이시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훈육시에는 아이에게 무조건 안돼! 보다는 아이를 감정적으로 소통할 필요가 있습니다

    나쁜 행동을 한다면 왜 그런행동을 하는지를 살피실 필요가 있고 해당되는 이유가 있다면 그 이유를 해결하기위해 도와줄 필요도 있습니다

    무조건 오냐오냐 하는 것도 안좋다만 무조건 혼내는 것도 좋지 않기때문에 아이와의 소통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연령을 3~5세 기준으로 아이에게 무조건 야단을 치거나 화내기 보다는 적당하게 아이와 타협하는 게 중요할 거 같습니다

    그리고 더 나은 방법은 없는지 아이 스스로에게 찾아보게 한 후 적당히 정보를 주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적당한 허용은 아이의 자율성을 키워주기도 합니다.

    이 시기는 아이의 마음을 충분히 읽어주고 공감해 주는 것도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 대한 훈육은 정확함과 단호함이 중요합니다.

    훈육을 할때 단호하게 이야기하되 아이의 마음을 헤아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때 설명을 길게

    하거나 과도하게 화내기보다는 그렇게 행동하면 안된다고 말하는 정도가 적당합니다.

    또한 너무 길게 훈육을 하게 되면 훈육의 효과가 떨어지니 짧은 시간에 단호하고 정확한 훈육을 권합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보통 36개월 미만의 아이는 말귀가 온전히 통하지 않기에 훈육을 권고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아이가 떼를 쓰는 상황에서 단호한 표정과 어투로 하면 안되는 행동임을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3살 아이가 떼를 피우고 그리고 고집을 피우며

    잘못된 행동을 하였을 때, 생각하는 의자에 앉아서

    혼자 생각을 하게 하거나 아니면 자리에 앉혀 말로써

    훈육하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