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원화 약세가 외국인 투자자에게 불리할까요?
요즘 환율이 오르면 외국인들이 주식을 판다고 하던데, 환차손 외에 다른이유가있는지, 그리고 그게 실제 투자 심리에 얼마나 큰영향을 주는지도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원화의 약세 흐름은 일반적으로 달러의 강세를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에 외국인 투자자입장에서는
원화로 투자할 경우 손해를 이중으로 본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원화가 약세일 때는 외국인 투자자들이 보통 투자를 꺼리며 원화가 강세로 진입할 때
투자도 많이 이루어지는 편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원화가치가 하락하면 외국인이 한국 자산에 투자해도 환차손으로 인해 실질 수익이 줄어들게 됩니다. 특히 환율 변동성이 클수록 외국인 입장에선 리스크가 커져 투자 심리를 위축시키게 됩니다.
결국 원화 약세는 외국인 자금 유출을 유발하고 주식시장 약세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원화약세가 추세적으로 이어진다고 보면 외국인투자자에게 있어서 달러를 원화로 바꿔서 원화로 투자하는 입장으로 됩니다
이말은 원화의 투자자산가치가 시간이 지날수록 하락한다는 말이며 원화약세가 구조적으로 이어진다면 외국인투자자는 적극적으로 들어오지 않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리 주가가 오르더라도 환차손이 커지면 실익이 없습니다.심리적으로 불안감을 느낄수있어 투자자금을 회수하거나 리스크관리를 할수가있어 주가의 하락으로 이어질수가 있습니다.투자심리의 불안정성이 확대되어지며 적극적 투자를 망설이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할수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원화의 약세가 외국인 투자자에 불리한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외국인들은 결국 자국으로 돈을 회수할 때에 달러화로 갖고 가기 때문에
달러화가 비싸지면 국내 주식에서 수익을 거둬도 결국 손해를 보기에
불리한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원화 약세 시 외국인 투자자는 투자자산을 매도해 본국 통화로 환전할 때 환차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원화 가치가 떨어지면 원화로 얻는 수익이 달러 등 주요 통화로 환산할 때 줄어들어 실질 수익이 감소하며, 추가적인 투자 회피와 자본 유출로 이어질 위험도 커집니다. 즉, 투자 성과 하락과 환차손 부담이 동시에 발생해 불리하게 작용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대로 원화가 약세를 보이는 시기에는 환차손을 우려한 외국인 투자자들이 매도 압력을 증가시킬 가능성이 커지는데요. 그 밖에는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불리한 것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