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철학

이ㅣ힝
이ㅣ힝

왕도정치와 재상중심 정책의 차이



재상이 뭔이 쉽게 설명해 주시고 교과서 보시면 정도전이 현명한 재상이 정치를 이끌어야한다 라고 강조 했다 여기서 선생님께서 재상 중심 정치라고 하셨는데교과서에는 왕도 정치 라고 나와 있어요 뭐가 맞는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순수한낙타174
    순수한낙타174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정도전은 임금과 신하가 서로 조화를 이루는 왕도정치를 강조했습니다.

    왕도정치와 재상중심의 정치는 서로 반대되는 개념이 아닙니다.

    왕도정치는 왕이 무력을 사용하여 통치하는 것이 아니라 덕으로 사람을 교화시켜 통치해야 한다는 사상입니다.

    이 사상대로라면 왕이 마음대로 강압적인 행동을 하지 않고 유능한 재상들의 의견에 귀를 기울이는 덕을 배풀게 되어 재상의 역할이 더욱 중요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아마도 단어 때문에 햇갈렸나보네여. 왕도 정치는 정도전이 주장한 내용이 맞구요.그 의미는 군주가 공평하고 사사로움이 없는 태도로 정치를 운영해 이상적 사회를 수립하는 것을 의미하는 유교의 대표적 정치사상입니다. 즉 왕은 권력을 너무 내세우지 말고 재상들의 말에 귀를 기울이며 공평하게 정치해야 한다라는 뜻입니다. 아마도 왕권 정치랑 햇갈린거 같은데 왕도 정치는 재상위주의 정치랑 같은 의미로 보면 돠고 왕권 정치란 그 반대로 신하들을 무시한 채 왕의 권력을 촤대한 키워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답변이 됬길 바래여.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왕도정치는 맹자의 핵심사상으로 인과 덕으로 나라를 운영하는 정치를 뜻합니다. 이에 대비되는 개념은 패도정치인데 이는 힘에 의한 정치를 뜻합니다. 왕도정치를 주장한 대표적 사림은 조광조가 있습니다. 즉 사림, 사대부들이 지향하는 왕의 정치는 도덕과 교화에 의한 정치인 것입니다. 왕이 가장 큰 도덕적 모범을 보임으로써, 성인군자가 되어 나라를 운영하는 것으로 성학군주론도 같은 맥락이죠.

    정도전은 조선 건국의 플래너로 재상정치를 꿈꾸다 이방원에게 제거되는 인물입니다. 왕이 우둔하고 포악하더라도 신하중 제일 뛰어난 재상이 이를 보필하면 나라운영이 잘된다는 지향과 철학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재상은 오늘날로 치면 국무총리격이죠. 조선시대로 치면 3정승 그중에 영의정이 될 것이고요. 재상은 1인지하 만인지상이라 불리었는데 왕 밑에 최고의 관리란 뜻입니디.

    이러한 구상과 철학을 반대한 이가 이방원입니다. 그는 조선이 왕에 의한 정치를 해야한다고 생각했고 결국 정도전을 제거하고 왕위에 오릅니다. 그가 바로 세종의 아버지인 태종이죠. 그는 강력한 왕권이 확립되어야 나라가 안정된다고 보았습니다. 즉 왕 중심의 정치냐 신하들에 의한 정치냐가 다른 것이죠. 신하들은 왕도 사대부 중 하나이고 왕도 학문을 닦고 도덕적 모범을 보여야한다는 왕도정치를 주장한 것인데 용어가 왕이 들어갔다고 해서 왕 중심이라고 오해하시지 마세요. 왕권을 제한하는 뜻입니다. 이 두 정치지향을 가장 잘 조화시킨 이는 세종입니다. 그는 신하들의 의견을 듣고 신하들이 맘껏 역량을 발휘하도록 집현전 등을 통해 자리를 마련했지요. 하지만 세종의 업적은 태종 대 강화된 왕권과 안정적인 국가운영이 없었다면 가능하지 않았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