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변 질문드려요 20대 후반입니다!
안녕하세요 혈변이 나와서 질문 드립니다
일단 전 97년생이고 체형은 비만까진 아닌데 좀 많이 과체중 느낌입니다(사실 요새 좀 쪄서 비만인 것 같습니다)
2년? 정도 전에 혈변 나와서 대장내시경 해본 결과 만성대장염 있다고 하셨었어요 그 때 치질은 없다고 하셨구요..
근데 어제 저녁에 혈변을 봐서 '아 장염 도졌나' 했다가
오늘 점심에 평범하게 나오길래 좀 안심했거든요..
그러다 저녁에 살짝 마려워서 확인 겸 싸봤는데 또 나와서 질문 드립니다
근 한두달 동안 고삐 풀려서 안좋은 음식(컵라면 치킨 피자 등) 자주 먹었구 공부중이라 많이 움직이지도 못했습니다.. 이거때문에 만성대장염이 도진건가.. 싶기도 하구요 커피 하루에 한 잔만 마시는데 커피도 문젠가 싶구요 ㅠㅠ
복통은 딱히 없고 싸면서도 아프지 않습니다.. 식욕은 너무 잘먹어서 문제고 체중감소도 없고 피곤한건 매일 공부중이니 어쩔 수 없는 것 같구요..
혹시 뭐 대장암 이런걸까봐 무서워요 ㅠㅠ
당장 다음주에 시험인데 머리가 무겁네요..
일단 오늘 저녁에 싼 혈변 사진 첨부해봅니다
안녕하세요. 최성훈 의사입니다.
올려주신 사진이 명확하지 않아 알아보기가 어렵습니다만 항문질환으로 인한 출혈의 가능성이 생각됩니다.
반복된다면 항문외과 진찰을 받아보시고 이상이 없다면 대장내시경 검사를 권합니다.
그러네요 혈변이군요
흔하기로는 항문질환의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혈면의 경우 반드시 장내 병변여부를 확인하셔야 합니다
소화기내과 진료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혈변(Hematochezia)은 대변에 선홍색의 피가 섞여 나오는 증상으로, 이는 소장, 대장, 직장 등의 하부 위장관에서의 출혈을 나타냅니다. 대변에 소량의 붉은 피가 묻어나거나 핏덩어리가 보일 수 있으며, 설사에 섞여 나오기도 합니다.
혈변과는 달리 흑변은 검은색을 띠며 상부 위장관 출혈 시 발생하는데, 이는 혈액의 헤모글로빈이 위산과 반응하여 검게 변한 결과입니다. 하부 위장관 출혈에서도 혈액이 장 내에 오래 머무르면 검게 변해 흑변이 나올 수 있습니다.
혈변과 함께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은 원인 질환에 따라 다르며, 오심, 복부팽만, 설사, 경련, 갈증, 저혈압, 빈맥, 실신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손실된 혈액량이 전체 혈액량의 40% 이상이면 저혈량성 쇼크로 인해 얼굴이 창백해지고 몸이 차가워지며 피부가 축축해질 수 있습니다. 혈변의 원인으로는 대장 질환, 직장 질환, 항문 질환이 있습니다. 대장 질환으로는 대장암, 대장 용종, 궤양성 대장염, 게실염, 허혈성 장질환, 이질 등이 있으며, 직장 질환에는 직장암, 직장 용종 등이 있습니다. 또한 치핵, 치열, 치루 등의 항문 질환 역시 혈변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혈변 환자에서는 1) 혈변의 색깔, 2) 피가 대변의 겉과 안 중 어디에 묻어 있는지, 3) 변이 묽어졌는지, 4) 변이 가늘어졌는지, 5) 배변 횟수가 변화하였는지, 6) 변을 참지 못하거나 배변 후에도 변이 남아 있는 느낌이 있는지, 7) 배변 시 복부나 항문 쪽에 통증이 있는지, 8) 변비나 설사가 동반되는지, 9) 복통, 체중 감소, 발열 등의 전신 증상이 있는지 등을 확인합니다. 또한 대장내시경 검사, 혈관촬영술, 방사선동위원소 스캔 등을 통해 출혈 부위를 찾아냅니다.
혈변 환자에서 출혈량이 어느 정도인지 평가하고, 출혈량이 많아 쇼크 상태인 경우에는 먼저 수액요법이나 수혈 등의 처치를 시행합니다. 혈압이 정상이라면 출혈의 원인과 출혈 부위를 찾아야 합니다. 원인 질환에 따라 치료하며, 국소 출혈 부위를 찾은 후에는 내시경, 올가미, 스테이플러, 고주파 등을 이용해 지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