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환경·에너지

단정한닭128
단정한닭128

전기차는 배터리 폭발 위험이 크다는데 배터리 폭발을 막을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전기차는 배터리 폭발 위험이 크다는데 배터리 폭발을 막을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전기차가 대기 오염의 대체방안으로 중요하니까 안전하게 탈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전기차 배터리 폭발은 완전히 막을수는 없습니다.

    전기차 배터리 폭발은 열 폭주 현상으로 과충전이나 과방전을 피하고, 강한 충돌이나 충격을 피해야합니다.

    배터리가 극단적인 고온이나 저온에 노출되지 않도록 해야 하며, 화재 위험이 있는 장소를 피해 주차해야 합니다.

    배터리 상태를 주기적으로 점검하여 제조 결함이나 손상을 조기에 발견합니다.

    전기차의 배터리 폭발은 완전한 예방은 어렵습니다. 사용시 항상 주의가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전기차에서 사용하는 리튬이온 배터리는 특정 조건에서 폭발이나 화재의 위험이 있을 수 있지만 이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과 관리 방법들이 존재하며 이러한 것들이 잘 지켜진다면 폭발의 위험성이 사라집니다.

    기본적으로 리튬이온 배터리는 온도가 너무 높아지면 폭발 위험이 커집니다.

    따라서 전기차는 배터리의 온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 열 관리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 시스템은 냉각 시스템을 통해 배터리의 온도를 조절하고 과열을 방지합니다.

    그러나 기술적으로 여러가지 기술적 관리적 방법이 존해하지만 전기차 사용자는 제조사의 안전 지침을 준수하고

    정기적으로 차량의 상태를 점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폭발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은 없습니다.

    현재의 배터리는 내부의 전해질이 액체 상태라 외부의 충격이나 내부의 이상으로 발화가 일어나게 되면 전해질 자체가 거대한 에너지를 포함하고 있는 탈물질이라 순식간에 발화하여 연소가 진행되고 이러한 에너지 때문에 엄청난 고온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러한 배터리의 화재를 열폭주라고 부를 정도로 특이한 연소형태입니다. 전해질 배터리를 사용하는 한 배터리 발화는 완전히 막기는 어렵습니다. 이를 최대한 제어하기 위해 내부 회로에 격벽을 사용하고 최대 충전량을 제한하는 등 장치를 하고 있지만 외부의 충격으로 만약 내부에서 발화가 시작된다면 배터리 열폭주를 막을 방법은 없습니다.

    이후 개발될 배터리가 전고체 배터리가 있는데 이는 전해질 자체가 고체상태라 액상 배터리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열폭주를 완전히 막아줄 수 있습니다. 또한 에너지 밀도가 높아져 같은 무게대비 더욱 효율이 좋아질 거라 전세계적으로 개발이 진행중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