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유아교육

보도연맹
보도연맹

안녕하세요 조지와싱탄입니다. 아이를 낳으면 3년간은 지극정성으로 길르라 라는 말이있던데요

안녕하세요 조지와싱탄입니다. 아이를 낳으면 3년간은 지극정성으로 길르라 라는 말이있던데요

이후부터는 조금씩 놔둬도 된다고, 어떤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를 낳으면 3년간은 지극 정성으로 기르라는 말은 일부 문화권에서는 일반적인 속담 중 하나이지만, 과학적 근거가 있거나 보편적으로 인정되는 육아 원칙은 아닙니다.

    육아에는 정해진 규칙이나 공식이 없으며 부모님마다 각자의 방식으로 자녀를 양육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대체로 많은 전문가들은 아기가 태어난 후 첫 몇 년 동안은 집중적인 관심과 사랑, 보호 및 적절한 영양 공급이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이후에도 자녀가 성장함에 따라 부모님의 역할은 계속 변화하므로 자녀와의 소통과 상호작용을 유지하면서 자녀의 요구에 맞게 대응해 나가는 것이 좋습니다.

    부모님께서는 자녀의 성격, 개성, 능력 등을 존중하고 이해하며 그들의 발전을 돕는 방향으로 육아를 진행하시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또한, 자녀가 독립적이고 책임감있는 성인으로 자라날 수 있도록 적절한 지도와 감독을 제공해야 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가족 구성원 간의 협력과 지지가 매우 중요하며 서로간의 의견을 나누고 함께 고민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입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를 낳으면 첫 3년이 신체적, 정서적으로 성장에 중요한 영향을 미쳐서 나온 말입니다.

    3년 간 기초를 다지는 시기라면

    3살 이후부터는 영양적으로 교육적으로 성장을 해야 할 시기입니다.

    20살이 될때 까지 부모의 역할은 계속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부모님과 아이간의 애착형성이 긴밀하게 이루어지는 기간이 바로 약36개월정도라고 합니다. 그렇기에 한국나이로 3살이 될때까지는 힘드시겠지만 아기와 함께 시간도 많이 보내주시고 많은 애정을 쏟아야한다는 것을 내포하고 있는 말이라고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와의 애착형성과 좋은 관계를 위해 그러는 것이 좋다 이지 그기간까지 타임리미트가 있고 그후 할일이 끝난다는 느낌은 아닐겁니다. 아이는 대학을 가도 졸업하고 취직을 해도 결혼을 해도 친밀하게 지내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생각보다 보고 듣고 배운는것이 빠릅니다. 그리고 이를 오랫동안 기억을 하고 인격을 형성하는데 아주 기본적인 경험이 됩니다. 따라서 초반에 열심히 키우리는 말로 해석이 됩니다. 하지만 이 시기가 중요하다는것이지 다른 시기를 그대로 두거나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된다는 것은 아니라고 보입니다. 아이들에게 지속적으로 사랑과 정성으로 키워주셔야 아이들이 바르게 자라난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에는 정답이 없으니 맞다 아니다를 말할 문제는 아니라고 보입니다. 다만, 상대적으로 아이가 자라면서 초기 영유아기만큼의 관심이 덜 필요한 것은 맞기는 해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3년간 지극정성으로 키우되 그 사랑의 강도를 확 줄이지 마시고 천천히 줄이시며 아이가 자율성을 가지고 스스로 생활하도록 돕는게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