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도덕적인말똥구리53
도덕적인말똥구리53

스마트폰시대 이후로 달러 의존성이 상당히 높아진 것 맞나요?

스마트폰 시대 이후로 달러화에 대한 의존성이 더 커진 것일까요? 해외주식 시장도 한국인들도 참여를 많이하고, 금투자나 ETF, 채권, 원자재 등 다양한 시장에 투자할 수 있게된 것 같은데 이러면 달러 의존성이 높아진 부분도 있을까요? 외환이 많이 빠져나갈 것 같긴해서요. 구글 안드로이드마켓이라든지 애플 앱스토어도 모두 달러결제 기반으로 돌아가는 것 보면 달러에 대한 의존도 심화가 더욱 심해지는 과정이 있으련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미국 기업들의 플랫폼에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세계 많은 국가들이 이러한 제품 등을 사용하고 있어 미국에 대한

      의존도가 커졌다고 볼 수도 있으며 해외투자가 원할함에 따라 국내 증시 등에

      투자될 돈이 해외 등으로 갈수도 있는 등 질문자님의 말씀대로 미국(달러)에 대한

      의존도가 심해졌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스마트폰으로 인해서 달러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졌다고 보기는 힘들 것 같습니다. 달러에 대한 의존도는 '기축통화'로서의 달러가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을 이야기하는 것이다보니 우리나라 경제성장에서 '수출과 수입'에 의한 외수경제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질 수록 달러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진다고 이야기 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만 말씀주신 내용중에서 스마트폰의 편리성과 해외시장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지게 되면서 우리나라 소비자들이 무역이나 다른 루트를 거치지 않고 달러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달러소비가 많아졌을 수 있다는 내용에 대해서는 달러 유출에 약간의 영향을 미칠수 있으나 무역수지에 대한 달러 유입과 유출에는 큰 영향을 주는 정도는 아닙니다.

      하지만 스마트폰이나 더욱 편리한 어플들이 생기고 국가 경제간의 벽을 허물정도의 내용이 나오게 된다면 질문자님의 말씀처럼 달러의 유출이 더욱 많아질 가능성도 있을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