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로고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쌈박한코브라230
쌈박한코브라23024.04.17

한글의 맞춤법은 어떤 기준으로 만들어졌나요?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단어와 말은 한자어의 개념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데요. 한글의 경우 표기방식이 한자와 전혀 다른 형식으로 사용된다고 생각합니다.

띄어쓰기, 맞춤법과 같은 언어 형식을 만들 때, 어떤 기준과 원리를 가지고 만들었을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글 맞춤법의 기준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1968년 10월 박정희 대통령의 '알기 쉬운 표기 방법 연구' 지시에 따라 국어심의회에 표준어와 맞춤법 수정을 위한 '국어조사연구위원회'가 설치되었습니다. 위원회는 1972년 8월부터 맞춤법 초안을 작성하였고 1979년 공청회를 거쳐 그해 12월에 맞춤법안을 완성하였습니다.
    '표준어 규정'도 1970년에 '표준말사정위원회'를 두고 1971년부터 표준어 사용 실태조사, 된소리 및 긴소리 연구 등을 하며 1977년까지 표준어 규정안을 만드는 등 일찍 제정 준비 작업에 들어갔습니다. '표준어 규정'과 '한글 맞춤법'은 1980년대에 국어연구소에서 다시 다루어 1988년 문교부에서 고시하였다고 합니다.

    표준어 규정과 한글 맞춤법 제정(1988년)이 되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현대 맞춤법은 1933년에 발표한 조선어학회의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기초로

    광복후 1985년 2월에 개정 작업을 시작해서

    1988년 1월 19일 고시된 대한민국의 한글 맞춤법을 기반으로 합니다

    그후 다양한 개정이 있었고, 지금도 이뤄지고 있죠

    누구 하나가 발명해낸 것이 아니라

    띄어쓰기는 1877년 영국선교사 존 로스가 도입

    문장부호는 앞서말한 <한글맞춤법통일안> 부록에서 제시한

    서양식 부호의 활용법을 기초로

    등등, 이런식으로 여러 사람들의 여러 시도가 있었던 것을

    국어연구소에서 여러 전문가들이 모여서 조정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고 합니다. ​ 여기서 소리대로 적는다는 것은 표음주의 원칙으로 소리 글자인 한글의 특성을 살려서 국어의 형태소를 발음대로 적는 것을 말한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원래 띄어쓰기는 조선시대에는 공식적으로는 쓰이지 않았지만, 사람들이 개인적으로 이미 자연스럽게 쓰고 있었다고 합니다. 이후 개화기에 인쇄기계로 쓸 때 적용되지 않다가 독립신문을 만든 서재필이 처음 띄어쓰기를 적용했다고 한다. 이후 1933 년에 맞춤법을 처음 만들 때 띄어쓰기가 포함되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글은 표음문자로서 글자의 모양이 나타내는 소리를 나타냅니다. 반면 한자는 표의문자로 글자의 모양이 나타내는 개념이나 의미를 나타냅니다. 이러한 기본적인 차이가 한글 띄어쓰기와 맞춤법의 기준과 원리를 설정하는 데 영향을 미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