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진지한석화구이
진지한석화구이

과거 조선시대에 의사들은 어떤식으로 자격을 갖추게 되었나요?

요즘 시대에 의사들은 모두 당연히 국가의사시험을 합격하고 자격을 갖추게 되는데요. 과거에도 분명히 의사가 되려면 시험이나 어떠한 통과의례 자격요건을 갖추게 되었을것 같은데 어떤 방식으로 의사자격을 받게 된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과거제도 중 잡과에서 의과에 합격해야 그 자격을 얻었다고 합니다.

      의과 시험과목은 의학 전문서와 『경국대전』을 강서하였습니다. 시험 방법은 『찬도맥』과 『동인경 주60』은 외우게 하고, 『직지방』 · 『득효방주61』 · 『부인대전』 · 『 창진집』 · 『태산집요』 · 『 구급방』 · 『화제방 주62』 · 『본초』 · 『경국대전』은 임문고강하게 하였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전문기술관을 뽑는 시험으로 잡과가 있었고, 잡과는 의사, 외교관, 약사 같은 전문직 시험을 시행했습니다.

      잡과에서 의과는 의원을 선발하는 시험으로 전의감에서 주관, 초시에 18명 선발, 복시에 9명을 선발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의사의 신분은 중인으로 잡과 중 의과에 급제해야 자격을 갖게 됩니다. 사농공상의 신분구조로 선비가 우선시되고 농자천하지대본야로 농사를 중시하며 상공업을 천대시하는 구조였습니다. 의과에 합격한 자들은 궁중이나 혜민서에서 일하였으며 지방에 의원들은 의술을 익혀 자격이나 면허없이 의술을 행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지금도 의사 자격증 시험이 있듯이 조선 시대에도 있었습니다. 당시 의료기관인 태의감에 들어가서 의학에 대한 교육을 받고 과거시험을 보았다고 합니다. 과거제도는 조선시대에도 이어졌으며 의업 응시 자격은 천민이 아닌 양인이면 누구나가 가능했습니다. 의과 지망자는 의료기관인 전의감, 혜민서 의학생으로 입학하여 의학 교육을 받았다고 전해 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