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 남극 빙하가 다 놓으면 다시 빙하기가 오나요
안녕하세요 질문 내용처럼 북극 남극 빙하가 다 놓을 시 바닷물 염분이 낮아지면 해수면 순환이 멈춰서 빙하기가 온다고 주변 사람들이 그러는데 그게 사실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
지구 온난화로 인해 다양한 기후변화가 생기면서 어떻게 진행될 지 예측이 어렵겠습니다.
빙하가 녹으면서 일부 지역에서는 오히려 추워질 수도 있지만,, 지구 전체가 빙하기가 온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북극과 남극의 빙하가 녹으면 그 물이 바다로 흘러들어가 해수의 염분 농도가 낮아집니다. 해수의 염분 농도는 해양 순환, 특히 대서양 자오선 순환(AMOC, Atlantic Meridional Overturning Circulation)과 같은 중요한 해양 순환 시스템에 영향을 미칩니다. 대서양 자오선 순환은 따뜻한 해류가 적도에서 극지방으로 이동하면서 밀도가 높은 염분이 풍부한 물이 차가운 북극 지역으로 가라앉는 과정에 의해 유지됩니다. 이 과정은 지구 전체의 기후를 조절하는 중요한 시스템입니다. 빙하가 녹으면서 담수가 바다로 흘러들어가면 염분 농도가 낮아지고, 물의 밀도가 감소해 해류가 가라앉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해양 순환이 약화되거나 중단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기후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해양 순환이 약화되면 유럽과 북미 동부 일부 지역에서는 기온이 하락할 수 있습니다. 이는 순환이 멈추면서 따뜻한 해류가 더 이상 이 지역으로 흐르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 현상은 지역적으로는 국지적 빙하기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일부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미니 빙하기"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영화 "투모로우(The Day After Tomorrow)"에서 다룬 시나리오는 바로 이러한 해양 순환 중단으로 인해 국지적 빙하기가 찾아오는 상황을 묘사한 것입니다. 이는 과장된 측면이 있지만, 해양 순환 약화가 유럽과 북미 지역에 큰 기후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은 사실입니다. 빙하가 녹으면 전체적으로 지구 온난화는 더 가속화될 가능성이 큽니다. 빙하와 눈은 태양 에너지를 반사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빙하가 녹으면 지표면이 더 많은 태양 에너지를 흡수하여 기온이 상승합니다. 이로 인해 지구의 온난화는 더욱 가속화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북극과 남극의 빙하가 녹는 상황은 전 지구적인 온난화와 맞물리며, 빙하기가 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기후가 더욱 불안정해지고 극단적인 기후 변화가 일어날 가능성이 큽니다. 과거의 빙하기는 지구의 공전 궤도 변화(밀란코비치 주기),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변화, 그리고 해양 순환 패턴의 변화와 같은 복합적인 요인들에 의해 발생했습니다. 현재의 상황은 인간 활동에 의한 온실가스 증가로 인해 온난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것이 과거의 빙하기 메커니즘과는 다릅니다. 다만, 온난화가 진행되면서 해양 순환 약화가 일어나면 특정 지역에서는 급격한 기온 하락이 일어날 수 있어, 일부 지역에서는 빙하기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전 지구적인 빙하기와는 차이가 있습니다.